AI 확대가 '기후변화 부채질?'…대응 정책 현주소는

2024-05-26 11

AI 확대가 '기후변화 부채질?'…대응 정책 현주소는

[앵커]

AI가 일상 속으로 파고들수록 전력 소비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이런 가운데서도 에너지 전환과 탄소 중립을 이루기 위해선 실질적인 정책과 입법도 뒷받침돼야 할 텐데요.

현황은 어떤지 최지원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서두르지 않으면 AI 서비스 확대는 화석연료 발전의 수명 연장으로 이어져 기후변화 대응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 생성형 AI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 내부의 열을 식히기 위해선 냉각수가 더 필요한데, 물 확보 문제도 각국에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전 세계적인 기후 이상으로 가뭄이 길어져 담수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이 늘어나는 현실입니다.

AI 서비스 확대가 기후변화 대응에 발목을 잡고 생태계도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규제하려는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오는 9월부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및 물 사용과 관련한 규제를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EU 권역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경우 에너지 소비량과 이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상세히 보고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의 새로운 변수인 AI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에너지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리고, 송배전망을 효율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정교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기상 상황에 따른 발전량 변동성이 있는 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원전 정책도 필요하다는 주문 역시 나옵니다.

"탄소중립과 AI혁명을 우리나라에서 성공하려면 원전은 좀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를 위해 고준위방사성 폐기물 특별법과 부족한 송배전망을 확충하기 위한 송전망 확충 특별법의 처리가 매우 시급한 실정입니다."

지난달 유관기관들이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도 AI연구에 필요한 에너지 믹스를 본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는데, 그만큼 준비가 부실한 현주소도 드러냈습니다.

기업들이 AI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현황, 즉 탄소발자국을 정확히 계산해서 내놓게 하는 법안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왔습니다.

정부는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에서 탄소중립과 AI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쥘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 (jiwoner@yna.co.kr)

[영상취재기자 : 장준환]

#AI #전력 #탄소중립 #원전 #신재생에너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