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수확기를 앞두고 쌀값이 폭락해 정부가 쌀 45만 톤을 매입하기로 했는데요.
농민들은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논 갈아엎기 투쟁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민성 기자!
[기자]
전북 익산의 한 논에 나와 있습니다.
쌀값 안정화 대책이 나왔는데, 농민들이 계속 논을 갈아엎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곳엔 말 그대로 황금 들녘이 펼쳐져 있는데요.
제 뒤로 논 갈아엎기 작업이 한창 진행 중입니다.
'한 공기 쌀값 300원 보장' 등 현수막을 단 트랙터 5대가 논 약 4천m²를 갈아엎습니다.
벼를 이만큼 기르는 데 1년 가까운 시간이 걸렸지만, 뒤집어엎는 건 10분에서 20분 만에 끝납니다.
오늘은 이곳 전북 익산과 고창에서, 내일은 전주와 정읍 등에서도 논 갈아엎기가 계속될 예정입니다.
사실 농민들의 논 갈아엎기 투쟁은 지난달부터 시작돼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벼농사 풍년이 예상돼 쌀값이 전에 없이 폭락했기 때문인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산지 쌀값은 20kg당 4만725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만4228원에 비해 25% 정도 떨어졌습니다.
다른 물가는 다 올라 생산비도 커졌는데, 유독 쌀값만 떨어지고 있어 농민들의 시름이 어느 때보다 깊습니다.
정부는 연말까지 약 1조 원을 들여 쌀 45만 톤을 매입해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2005년 공공비축제 도입 이후 수확기 시장격리 물량으로는 가장 많은, 말 그대로 적극적인 조처지만 농민들은 이대로 투쟁을 멈추기엔 사태가 너무 중하다고 호소합니다.
매년 쌀이 남아도는 상황에서 가을마다 논을 갈아엎고, 그래야 정부가 쌀 매입량을 임시로 늘려주는 이런 일회성 대책의 반복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겁니다.
그래서 농민들은 양곡관리법을 개정해 남은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여당은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입장입니다.
쌀 생산을 차츰 줄여가야 하는데 남는 쌀 의무 매입이 제도로 굳어지면 쌀 생산량이 유지되거나 되레 늘 수도 있고, 그만큼 재정 부담도 커질 수 있어섭니다.
대신 논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게 유도하는 '전략작물 직불제'를 활성화하자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양당의 견해차로 국회 농... (중략)
YTN 김민성 (kimms0708@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20927112220014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