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조치 수준과 대북제재 완화 문제를 놓고 평행선만 달린 지난 2019년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협상 결렬 이후 북핵 문제는 답보 상태에 빠졌습니다.
그로부터 2년여 뒤.
백악관의 주인이 바뀌고 처음으로 열린 한미 정상의 대면 회담에선, 꼬인 실타래를 풀겠다는 양국의 의지가 확인됐습니다.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내기 위한 이른바 '유인책'을 공동성명에 담았습니다.
2018년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은 물론,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북미 간 싱가포르 합의도 존중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이 싫어하는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 비핵화'라는 문구도 사용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한미 간에 인식을 함께하고 있고 비핵화 시간표에 대해서 양국 간 생각의 차이가 있지 않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 저도 문 대통령과 동의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입니다.]
4개월째 공석이던 미국의 대북 특별대표도 깜짝 발표됐습니다.
주한 미국대사 출신의 성 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이, 북핵 협상을 총괄하는 자리에 임명됐습니다.
2018년 북미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앞두고, 막판까지 북한 측과 합의문 초안을 작성했던 대표적인 '북핵통'을 자리에 앉힌 겁니다.
한마디로 대화의 물꼬를 터보자는 신호를 북한에 보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호응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우선 표현의 수위가 조절되긴 했지만, 북측이 거부감을 보이는 북한 인권 문제가 한미 정상의 공동성명에서 거론됐습니다.
반면, 북한이 원하는 대북 제재 완화 방안 등은 빠졌습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핵 관련 약속이 있어야만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는 원칙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비핵화 선행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동안 선 대북제재 완화와 적대 정책 철회를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던 북한이 어렵사리 넘어온 공을 받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한미 정상이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재확인했지만, 북한은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번 회담으로 대화 재개의 충분한 여건이 조성됐다면서 북한이 적극적으로 호응할 것을 기대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도원 기자!
북한이 협상에 다시 나올 만한 조건이 충분히 마련됐다는 게 이인영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524135051742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