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이어질 삼성 오너리스크…준법위 지속 가능한가
[앵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국정농단 재판이 내년 초 마무리되더라도 경영권 승계 관련 재판은 새롭게 시작됩니다.
이에 새해에도 이 부회장을 둘러싼 삼성의 오너리스크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뇌물을 건넨 혐의를 놓고 다퉈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재판이 내년 초 선고 공판에서 4년 만에 마무리됩니다.
하지만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이 결말에 이르더라도, 내년에는 새 재판이 시작됩니다.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 관련 내년 2월쯤 다시 1심부터 재판을 받아야 해 이 부회장의 경영 행보에 여전한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부회장은 지난 10월 말 이건희 전 회장 별세 이후 2달간 총 7번 재판에 출석했습니다.
재판과 동시에 11조 원대의 주식 분 상속세 숙제를 풀어가면서 기업 지배력을 유지하고, 시스템반도체와 AI, 5G 이동통신 등 신사업 육성에 나서야 합니다.
당장은 파기환송심 형량에 영향을 미칠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에 관심이 쏠립니다.
설치 후 지난 10개월간 활동을 놓고 총수에 대한 견제는 한계가 명확하단 지적과 실효성이 있단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지속 가능성에 방점이 찍힙니다.
재계는 일단 긍정적 해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외부에서 그에 대한 평가가 엄격한 관점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삼성 입장에선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행태로 갖춰 나갈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보여주기식 조직이란 비판의 목소리도 여전합니다.
"아직도 피해자들에겐 온갖 손해 배상 소송이니 불법적인 제재를 가해대고 말로만 준법감시위를 내세워서 이재용을 봐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재판 결과를 떠나 기업 총수에 대한 형사 재판 장기화 자체가 문제란 시각도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