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성일종 / 자유한국당 의원, 강훈식 / 더" /> ■ 출연: 성일종 / 자유한국당 의원, 강훈식 / 더"/>
■ 진행: 김정아 앵커
■ 출연: 성일종 / 자유한국당 의원, 강훈식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본이 강제징용 문제의 해법으로 제안한 제3국 중재위 설치. 청와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일본의 추가 보복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강대강 대치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인데요. 정부와 함께 정치권도 연일 해결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어떤 방안들이 있는지 두 분 의원의 속시원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 그리고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 두 분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인터뷰]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3국 중재위 문제. 이건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 제3국을 거쳐서 논의를 해 보자, 중재를 받아보자, 일본 측이 제안했고 시한이 내일인데 어제 청와대가 명확하게 받을 수 없다 이렇게 명확하게 입장을 밝힌 거예요. 민주당에서 주장하는 건 이게 사법부 판결이니까 이렇게 가는 건 옳지 않다 이런 얘기인 거죠?
[강훈식]
당연히 민주당뿐만 아니라 그건 아마 야당도 동의할 거라고 보는데요.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법부의 대법원 판결이 난 문제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그것을 일본이 다시 3국 중재를 통해서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해 보자라는 건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한 가지로는 현재 이 국면들을 본인들에게 유리하게 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 것들은 구체적으로 내용은 한 서너 가지 될 것이라고 봅니다. 첫 번째가 사법부 판결에 대한 내용들을 좀 느슨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을 테고요. 그리고 두 번째는 역사적인 본인들의 정당성이 없음을, 정당성이 있는 것으로 만드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실은 이 부분에 있어서 피해를 받은 분들이 동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3국으로 가는 것 자체를.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자라는 것은 WTO 제소라든지 여러 가지 문제들에서 지금 일본이 진퇴양난에 빠진 문제를 국면전환하기 위한 것이라고 저희는 생각하고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는 그렇게 할 문제가 아니다, 정면으로 돌파해야 된다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한국당 의원들도 대부분 동의를 하실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신중하게 검토는 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1712095440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