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 사회에서도 정신 건강이 중요한 화두가 됐습니다.
각종 정신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해외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한 해 GDP의 1% 국민의 정신 건강 문제에 쓰고 있는 네덜란드에 김주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 살고 있는 핸드릭스 씨는 과민성 신경질환 문제가 심해지면서 2차 의료기관의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심리치료사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병이 나아지는 것에 만족한다는 핸드릭스 씨.
[메리안 미정 핸드릭스 / 과민성 신경질환 환자, 암스테르담 거주 : 10점 만점에 9점을 줄 정도로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20년 전 핸드릭스 씨에게 처음 비슷한 문제가 시작됐을 때와는 달리,
몇 년 전부터는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일상을 정부가 직접 관리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지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겁니다.
병원이 지방자치단체, 학교, 사회복지기관과 연계해 정신 질환을 앓은 사람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토마스 라이커 / 1차· 2차 의료기관 주치의 :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년에 2~3번 정도 정기적으로 만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병세가 나타나면 빠르게 치료를 하고 심해질 경우 2차 의료기관과 쉽게 연결해 보다 전문적인 치료를 받게 합니다.
[리안 부스트라 / 2차 의료기관 '디멘스 그룹' 이사장 : 저희는 지역마다 팀들이 구성돼있습니다. 주변의 이웃이나 경찰들이 연락을 해올 경우 그 사람들을 찾아가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합니다.]
우리 사회에서도 정신질환이 더 이상 소수만 겪는 병증이 아닙니다.
우울증 환자만 해도 지난해 104만 명에, 이들이 쓴 진료비만 6천8백억 원을 훌쩍 넘겼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국가 차원의 공적인 관리는 10년에 한 번, 건강검진 가운데 정신건강 부분을 점검하도록 돼 있는 것뿐입니다.
물론 공적 관리를 강화하면 막대한 예산 투입은 불가피 합니다.
네덜란드도 GDP의 1%에 달하는 비용을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국민의 8%인 140여만 명이 이 제도를 이용하면서 유·무형의 실익이 훨씬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핼크 스툴프 / 비아 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 예를 들어 초등학교 때부터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는 증상이 있으면 누구한테 어떤... (중략)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111034132336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