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연속 줄어든 신생아…지방 소멸 위기감 고조
[앵커]
인구의 변화는 나라의 미래를 짐작하게 합니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대한민국 주민으로 등록한 인구를 대상으로 연령과 지역별 각종 추이를 분석했는데요.
저출생과 고령화, 수도권 집중 현상이 눈에 띄게 심화됐습니다.
정부의 인구 통계, 윤솔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8년째 주민등록상 출생자는 꾸준히 줄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23년 한 해 주민등록 기준 출생자는 23만 5천여 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하향 곡선으로 처음 꺾였던 2015년과 비교해보면 줄어드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절반으로 뚝 잘려 나간 수준입니다.
인구 감소 수준은 지난 2022년에 이어 11만 명 수준, 2년 연속 웬만한 중소 도시 1개가 사라진 셈입니다.
연령대별 인구를 보면 나이를 먹어가는 대한민국의 현실은 더욱 뚜렷이 드러납니다.
사상 처음으로 70대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겁니다.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632만 명, 20대 인구는 619만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에서) 2025년에 초고령사회 인구를 전망하고 있는데요. 주민등록 인구에서도 좀 비슷하게 내년 아니면 내후년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17개 시도별 상황을 한번 볼까요.
새롭게 진입한 충북과 경남을 포함한 8곳이 초고령사회, 대구와 서울 등 8곳이 고령사회, 유일하게 세종시만 고령화 사회 기준에 머물렀습니다.
지방 소멸 위기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격차가 최대치를 기록한 겁니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인들보다 70만 3200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2019년에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초월한 이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인구 격차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인구 감소 주요 지역으로는 경북과 경남, 부산, 전북 등이 꼽혔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 그리고 지방 소멸은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 되는, 올해 당면한 가장 큰 과제란 점을 인구 통계가 말해주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저출생 #고령화 #지방소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