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
[앵커]

"/>

'제2 요소수' 후보 4천개…"품목 특성별 대책 필요"

2021-11-10 0

'제2 요소수' 후보 4천개…"품목 특성별 대책 필요"

[앵커]

요소 탓에 발등에 떨어졌던 불은 가까스로 껐습니다만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우리나라가 한 국가에 80% 넘게 의존하는 수입품이 4,000개 가까운데요.

품목별 특성을 반영한 공급망 관리가 없으면 제2의 요소 사태는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요소수 대란의 원인은 요소 수입의 80%를 중국에 의존한 탓이었습니다.

과도한 특정 공급선 의존이 뜻하지 않은 화를 불러온 겁니다.

문제는 이런 품목이 요소 하나만이 아니란 겁니다.

올해들어 9월까지 수입품목 약 1만 2,500여개 중 특정국 의존도 80% 이상인 품목이 전체의 3분의 1에 달합니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중국 수입 비중 80%이상이고 자동차 차체, 항공기 제작 등에 쓰이는 마그네슘 잉곳은 아예 전량 중국에 의존합니다.

마그네슘은 차체 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 합금 생산에 필수원료로 올해 8월 t당 3,000달러대였지만 중국의 감산에 10월 8,000달러대까지 치솟아 또다른 위험요인으로 꼽힙니다.

반도체와 고강도 강철에 쓰이는 산화텅스텐은 94.7%, 2차 전지 핵심소재 수산화리튬도 83.5%가 중국산입니다.

다수 주력산업이 '중국 리스크'를 떠안고 있는 건데, 아예 대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품목별로 세분화된 접근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는데,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하고 있는게 갈륨인데 전세계 매장량 97%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공급망 다변화가 불가능한…"

품목별 상황에 맞게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는 겁니다.

정부는 또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이후 관리해온 338개 핵심 부품·장비 외에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범용 수입품 공급망을 조사해 안정화 방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