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당부한 백신 접종 전 가장'중요한 것은? / YTN

2021-02-24 5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규모가 사흘 만에 다시 4백 명 대를 기록했습니다.

설 연휴가 끝나면서 가족 모임 등을 통한 집단 감염이 확산하고 있어서인데요,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이 본격적인 백신 접종을 앞두고 주의 사항을 당부했습니다.

취재 기자를 연결합니다. 이승훈 기자!

먼저 방역 당국이 밝힌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주의 사항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방역 당국이 가장 강조한 건 접종 전에 의사의 예진을 반드시 받아 달라는 겁니다.

접종 전에는 반드시 의사를 만나 자신의 몸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하라는 건데요.

먼저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으면 결코, 접종을 받아서는 안 됩니다.

열이 37.5℃ 이상 나면 무리하게 백신을 맞지 말고 접종을 연기해야 합니다.

임신부와 소아 청소년 경우에는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백신 접종 권장하지 않습니다.

예방 접종 뒤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15~30분은 접종기관에 머무르면서 이상 반응 발생 여부를 살펴야 합니다.

집에 돌아온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은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고, 접종 뒤 적어도 3일 동안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찾아 달라고 방역 당국은 당부했습니다.

한편 당국은 "26일 백신 첫 접종자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65세 미만 입소자와 종사자라고 밝혔습니다


오늘 다시 신규 환자 규모가 다시 4백 명대가 돼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부가 고의나 과실로 방역 수칙을 위반해 코로나19 확산을 부추긴 사람들에 대한 구상권을 강화하기로 했다고요.

[기자]
정부가 구상권을 강화하기로 한 이유는, 몇 사람의 방역 수칙 위반 때문에 너무 많은 사회적 비용이 들고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코로나19 방역 수칙 위반 사범에 엄정 대처하기로 하고 이미 법무부와 보건복지부, 지자체 등이 참여한 구상권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구상권 협의체는 고의로 역학조사를 방해해 감염을 초래한 사람에게 지자체가 구상권을 청구할 경우 소송 대응을 지원하게 됩니다.

협의체는 또 실제 구상권 청구 사례를 분석하고 소송 과정의 문제점 등 실무적 조언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정부가 엄정 대응을 강조할 정도로 최근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와 함께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은 사람도 많이 늘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224155936995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