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평창·개헌'...집권 2년차 3대 과제 어떻게 풀까? / YTN

2017-12-31 1

집권 첫해 적폐청산과 정상외교 복원에 집중했던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는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국정 기조를 맞출 전망입니다.

집권 2년 차를 맞는 문재인 정부 앞에 놓인 과제,

신호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문재인 내각' 첫 국무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성과와 실적을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 이제 새 정부가 본격적으로 출범한 셈이 됐습니다. 지금부터는 성과와 실적으로 평가받는 정부가 되었으면 합니다.]

집권 첫해 키워드가 적폐 청산을 통한 '나라다운 나라 만들기'였다면 집권 2년 차인 올해 국정 기조는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정부입니다.

올해는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 돌파 11년 만에 3만 달러 시대를 맞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국민이 어떻게 느끼느냐입니다.

[문재인 / 대통령 : 더 중요한 것은 새 경제 정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서 국민 개개인의 삶이 나아진다는 걸 국민이 체감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핵심은 일자리입니다.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인 사람중심 경제의 네 바퀴가 잘 굴러갈 수 있느냐도 결국 일자리 만들기의 성패에 달렸습니다.

19조 2천억 원에 달하는 일자리 예산의 76%를 상반기에 투입해 좋은 일자리 붐을 일으키겠다는 전략입니다.

문 대통령은 서민층 부담을 더는 강도 높은 5대 생계비 절감 정책도 주문했습니다.

일과 양육의 균형 확보에 초점을 맞춘 저출산 대책 로드맵도 1분기 안에 나옵니다.

[문재인 / 대통령 (12월 26일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 첫 회의) : 자신의 삶을, 가치를 지켜나가면서 결혼하고, 아이 낳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그런 사회 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 이것이 근본적인 저출산 고령사회의 대책이라고 생각합니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 기본권 확대와 지방분권 강화 등을 중심으로 한 개헌 논의가 어떻게 이뤄질 지도 관심입니다.

다음 달 평창 동계올림픽은 올 한해 분위기를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참가 여부나 각국 정상들의 참석 규모에 따라 한반도에 대화 국면이 조성될 여지도 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추가 협상을 시사한 문 대통령 언급에 일본 측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점도 해결해야 할 숙제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삶의 질 개선과 평창 올림픽의 성공, 개헌 추진 문제 등을 포함한 올해의 국정 구상을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밝힐 예정...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80101001127683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