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피해를 본 포항 지역 건물 가운데 피해가 심각한 140여 곳에 대해 정밀 점검이 시작됐습니다.
또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지진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을 모두 설치하고, 대피소 운영 개선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겉보기엔 멀쩡해 보이는 아파트.
지진 발생 이후 세 차례의 안전 점검에서 '사용 가능', '사용 제한' 판정을 받아 일부 주민이 거주해왔던 곳입니다.
하지만 건물 속을 들여다보면 사정은 다릅니다.
기둥을 감싼 콘크리트는 모두 떨어져 나갔고, 철근은 휘어졌습니다.
바닥에는 물까지 고여 있습니다.
정밀 점검에 앞서 진행된 네 번째 안전점검에서야 지하 기둥 파손이 확인됐고, 그제야 출입을 통제하는 '위험' 판정이 내려졌습니다.
주민들은 그동안 허술한 점검으로 주민을 위험에 내몰았다며 분통을 터트립니다.
[아파트 거주 주민 : 건물이 균열이 갔는데 물이 새면 어떻게 됩니까. 빨리 차단하고 통제를 시켜야지 여기 사람 사는 곳도 있어요. 어제 수도가 터져서 우리가 잠갔어요.]
안전 점검 결과 위험, 사용제한 판정을 받은 140여 개 건물에 대해 정밀 점검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이 결과에 따라 건물의 재건축 여부가 결정됩니다.
[서상효 / 정밀 점검 업체 부장 : 현장 조사가 2일에서 3일 정도 걸리고, 그 자료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그건 시설안전관리공단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서 평가해서 등급이 나오면 그걸로 최종결정을 하게 됩니다.]
정밀 점검은 건물 소유주 부담으로 진행해야 하지만 정부는 특별교부세를 활용해 최대한 빨리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또 지진 발생 초기 대피 장소를 찾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 설치도 서두릅니다.
[정종제 / 중대본 총괄조정관 : (현재) 안내표지판 설치율은 41% 수준입니다만 연말까지 설치율을 70%로 끌어올리고 내년 상반기까지 안내표지판 설치를 전부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실내 구호소 운영 지침'을 만들어 대피소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사생활 보호 문제도 개선해 나갈 방침입니다.
YTN 이윤재[lyj1025@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1128183826869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