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태경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박지훈 / 변호사, 박상희 / 심리상담 전문가, 김복준 /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
[앵커]
어제 밤이었죠. 경주가 또 한 번 흔들렸습니다. 아니요, 한반도가, 대한민국이 또 한 번 크게 흔들렸습니다. 4.5 규모의 지금 지진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홍 교수님, 이게 지금 여진이 아니다, 여진이다. 이게 말들이 많은데 홍 교수님, 뭡니까? 이게 지금. 4.5의 지진이.
[인터뷰]
여진으로 볼 수 있는데요. 그 이유를 몇 가지로 추려볼 수 있는데. 지난 12일날 본진이 발생했고 규모가 5.8이었고 어제 지진이 4.5 여진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리적으로 두 지진이 굉장히 가까울뿐만 아니라 거리는 한 2km 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그다음에 앞선 본진과 두 번째 이번 지진 같은 경우에는 이 진원의 깊이가 10km에서 14km로 굉장히 유사합니다.
또한 단층면해라고 하는데요. 단층의 기하학적인 모양과 단층 움직임을 나타내는 계산을 할 수가 있는데 두 단층이 똑같이 계산이 됩니다. 그 의미는 뭐냐하면 두 지진이 동일한 단층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제 저녁에 발생한 지진은 앞선 본진에 의한 여진으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앵커]
그러니까 여진이라는 게 점점점점 작아지는 게 아니라 작아졌다가 큰 지진이 있고 여진이 점점 작아지는 지진이 왔다가 또 갑자기 큰 지진이 왔다, 이렇게 되는 겁니까?
[인터뷰]
그런 현상이 굉장히 자연스럽고요. 많은 지역에서 그런 것들이 목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큰 본진이 발생하게 되면 시간을 떠나서 여진 발생 빈도와 그 크기가 점점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어제와 같이 이렇게 감소하는 가운데도 큰 여진이 발생할 수 있고요. 그 여진에 의한 또 다른 여진이 발생하면서 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게 되거든요. 하지만 전체적인 추세는 여진 발생 빈도와 그 크기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결국은 안정화로 접어들게 됩니다.
[앵커]
그래서 우리가 오늘 또 홍 교수님과 같은 전문가를 모신 이유가 우리나라는 뭐가 발생을 하면 첫 번째 도는 게 뭐냐하면 음모론입니다. 그런데 이게 지진은 자연발생적으로, 이게 자연재해이기 때문에 음모는 어떻게 제기할 수가 없죠. 누가 일부러 지진을 일으켰다, 이건 안 되지만 이제 그 대신에 뭐가 도냐하면 괴담이 돕니다. 저희가 괴담을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6092019323848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