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일, 아젠다 센터 대표 / 최영일, 시사평론가
[앵커]
20대 국회가 어제 개원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회 개원연설을 통해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정세균 국회의장은 개헌을 다시 한 번 꺼내들었습니다.
개원 첫 날부터 개헌 얘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핵심 이슈들 두 분 패널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YTN 객원해설위원이신 이상일 아젠다센터 대표, 최영일 시사평론가 함께 자리 함께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먼저 어제 대통령의 개원 연설. 핵심은 협치 아니겠습니까, 협력.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인터뷰]
20대 국회가 비교적 산뜻하게 출발했습니다. 원 구성 협상도 어느 때보다 빨랐고요. 또 대통령의 국회 개원연설에서 협치를 강조하고 또 국회를 존중하겠다이런 뜻을 밝히면서 부드럽게 출발했고요.
이런 부분에서 본다면 그동안 이번 총선을 통해서 드러난 여러 가지 여소야대 국면이라든가 협치에 대한 요구들이 일정 부분 반영되면서 국회는 국회대로 대통령의 연설을 굉장히 예의를 갖추어서 맞아들였는데요.
굉장히 분위기가 좋게 출발했습니다마는 지금 앞으로 놓인 여러 가지 과제들을 보면 그렇게 상황이 녹록지는 않아 보입니다.
여러 가지 이슈들을 봤을 때 과연 그런 협치의 정신들이 제대로 발휘될 것인지 궁금한데요. 협치라는 것이 평균적인 나누어 먹기를 말하는 것은 아니죠.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여당 법안 하면 야당 법안 이렇게 산술적으로 봉합해서 가는 것은 협치가 아닐 텐데 진정한 협치로 가려면 어떤 하나의 이슈에 대해서 무엇이 정답인지 어떤 것이 좋은 길인지 같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과정이 협치라고 할 텐데 그런 부분들을 제대로 같이 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좀더 지켜봐야 되겠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지금 과거에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 할 때죠. 지금은 여소야대 국면인데요. 여소야대 국면일 때 협치는 대통령 입장에서 또 다른 의미가 있지 않겠습니까?
[인터뷰]
그래서 박근혜 정부의 지금까지 기조와 달리 대통령의 어제 상징적인 모습은 핑크빛, 분홍빛 재킷이었어요.
그래서 훈훈한 분위기를 연출했고 대통령이 선택한 키워드 두 가지가 화합과 협치였습니다. 그리고 당연한 원론적 이야기지만 또 다시 한 번 국회는 국정의 동반자다, 존중하겠다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0614090034414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