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8시 40분께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불이 난 가운데 국가유산(문화재) 소실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50분 만에 대응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약 4시간 만인 오후 12시 31분께 큰 불길을 잡았다. 진화 작업에는 장비 76대와 인력 262명이 동원됐다.
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인데 불은 전시실로 운영되는 3층에서 시작돼 4층으로 번졌다. 소방당국은 4층에 쌓여 있는 자재로 진입이 힘들어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건물 내 바닥에 가연물이 많아 일일이 들어내며 잔불을 감시해야 해 완진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불길을 잡는 데 3시간 51분이 걸렸지만, 관람객 등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박물관이 증축공사로 휴관 중이라 관람객은 없었다.
다만 불을 끄기 위해 박물관 내부로 진입했던 소방대원 1명이 딛고 선 작업 발판이 빠지면서 2m 아래로 떨어지고 철근 낙하물에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문화유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박물관은 증축공사를 시작하면서부터 유물 전반을 수장고에서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화체육관광부는 “유물이 보관된 1층 수장고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다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소장 유물을 소산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고 있...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950?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