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영수 앵커, 이승휘 앵커
■ 출연 :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올해 우리나라 영화계를 돌아보면범죄도시3와 또 최근 서울의 봄'이 천만 관객을 돌파했죠. 또 이순신 장군 영화 '노량'도 벌써 3백만을 넘어섰습니다. 올해는 뮤지컬과 연극 등 공연예술계도 관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2023년 올 한해, 문화계, 연예계 소식,정덕현 문화평론가 모시고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정덕현]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서울의 봄 천만 관객 돌파 소식 얼마 전에 전해 드렸는데. 노량도 300만 넘어섰다고요?
[정덕현]
저는 이순신 장군이 나오면 된다, 이렇게 생각하거든요.
잘 만들었기 때문이겠죠.
[정덕현]
잘 만들기도 했는데 노량 같은 경우는 해상 전투장면이나이런 것들을 거의 대부분 다 스튜디오에서 찍었거든요. 그게 사람들이 잘 못 믿는 것 같은데 그러니까 엄청나게 큰 스튜디오를 마련해서 거기서 다 찍은 거죠. 그러니까 대부분 다 CG로 활용해서 만든 부분이 상당히 있다는 건데. 지금 한국의 촬영기술이나 이런 것들이 굉장히 높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런데 확실히 제일 큰 건 이순신 장군이라는 소재 자체가 큰 것 같아요.
제 주변의 아는 지인들한테 물어봤더니 그러더라고요. 영화를 보고 나서 나 이순신 장군 사랑하나 봐, 이런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그러니까 그만큼 이순신 장군이 나오면 굉장히 주목되는 면이 확실히 있고 약간 우리가 국뽕이라고 그런 얘기 있잖아요. 그런 것들도 있는 것 같더라고요.
이순신 장군 영화 노량도 그렇고요. 천만 관객 돌파 두 가지 영화가 이렇게 돌파했다는 게 참 의미가 큰 것 같은데 결국은 잘 만든 영화가 있으면 극장가에 가게 된다, 이런 뜻 아니겠습니까?
[정덕현]
맞습니다. 서울의 봄이 올해 거의 사건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어요. 왜냐하면 애초에 영화가 잘 빠졌다, 잘나왔다 이런 얘기는 충분히 많이 돌았는데 극장을 가는 거는 다른 문제가 돼버렸거든요. 코로나를 겪으면서 관객들이 극장까지 간다? 그러려면 넘어야 될 장애물 하나를 탁 넘어서야 되는 그런 상황이 생겼어요.
그런데 서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31231123912669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