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을 준비하는 동안 윤석열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외교로 북핵·미사일 압박 전선을 확장했다.
━
나토 공동성명에 ‘북핵 CVID’
가시적인 성과는 나토의 공동성명에 담겼다. 나토 정상회의를 위해 리투아니아에 모인 31개 회원국은 11일(현지시간)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프로그램을 비롯해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으로 포기해야 한다는 점(CVID)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또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알렸다. 대북 압박을 위한 기존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 축에 나토를 더한 셈이다.
미 인도태평양 전략에 적극적인 참여 기조를 밝혀온 정부는 나토까지 연계한 안보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리투아니아를 방문한 윤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 면담에서 “대서양 안보와 인도태평양의 안보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같은 인도태평양 국가와 나토의 긴밀한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나토와 군 기밀도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6826?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