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넘게 양봉업을 하면서 돈을 주고 벌통을 살 지는 생각조차 못 했습니다.”
지난달 26일 오후 전남 강진군 서산리. 양봉농가를 운영하는 이인구(60)씨가 빈 벌통을 바라보며 한 말이다. 이씨는 “매년 키우던 벌통 500개 중 올해 봄에만 440개 벌통에 있던 벌이 모두 사라졌다”고 했다. 벌통 1개당 1만5000~2만마리가 산다는 점에서 이씨 농장에서만 꿀벌 700만마리가 폐사했다. 한국양봉협회 강진군지부장인 그는 올해 꿀벌을 번식시키기 위한 종봉(種蜂) 벌통 50개를 2000만원을 주고 구매했다.
최근 2년간 계속된 꿀벌 집단폐사 여파로 양봉농가가 발을 구르고 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60억마리가 폐사했던 피해 규모가 올해 200억마리로 3배 이상 커져서다.
15일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 농가 1만8826곳, 122만4000개 벌통에서 꿀벌이 없어졌다. 벌통 1개당 1만7000마리씩만 잡아도 꿀벌 208억마리가 자취를 감추거나 폐사했다. 양봉협회 측은 올해 전체 양봉농가에서 키우던 꿀벌의 56.3%가 폐사한 것으로 본다.
앞서 양봉업계는 지난 3월 9일 농림축산식품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꿀벌 집단폐사에 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꿀벌 폐사를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로 인정할 것과 양봉직불금을 도입하라”며 삭발식을 했다. 지난 2월 농식품부의 꿀벌 피해 진단과 대책에 항의하는 시위였다.
당시 농식품부는 2년째 계속된 꿀벌 피해가 전염병을 일으키는 진드기인 꿀벌 응애가 방제제에 내성이 생긴 결과라는 분석을 내놨다. 박승표(71) 한국양봉협회 경북도지회 사무국장은 “벌이 절반 이상 죽었는데 자연재해가 아닌, 응애 방재제 때문으로 국한시키는 것 자체가 양봉 현장을 전혀 모르고 내린 결론”이라고 했다.
정부와 양봉농가의 입장차는 꿀벌폐사의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2626?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