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없는 '깜깜이' 코인 상장…피해자 '양산' 우려
[앵커]
일반적으로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코인을 사고 팔죠.
그런데 상당수의 코인들이 어떤 기준으로 상장되는 지는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는 뒷돈을 받고 상장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피해자 양산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원에선 올해 들어서만 코인 15종의 상장폐지가 결정됐습니다.
전체 상장 코인의 약 8% 정도로, 다수가 국내에서만 발행된 이른바 '김치코인'이었습니다.
이렇게 허무하게 상장폐지의 길에 접어든 코인들은 어떻게 상장된 걸까.
일반적으로 각 거래소 별로 있는 내부 상장위원회가 코인의 상장을 결정합니다.
외부 심사위원회를 통하거나 자문을 받는 곳도 있지만, 결정권은 없습니다.
5대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 닥사는 지난달 코인 상장 가이드라인을 내놨지만, 여전히 각 사들은 상장 기준 자체를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모든 절차나 상황이 공개되지 않는다는 거죠.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되는 일이고. 본질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시장 구조라고 생각해요."
뒷돈을 받은 거래소 임직원들과 뒷돈을 준 브로커들은 바로 이 깜깜이 구조를 악용했습니다.
최근 서울남부지검에 적발된 코인원 전 상장담당이사와 상장팀장은 브로커들로부터 수십억원을 받고 2년여동안 29종의 부실 코인들을 상장해왔습니다.
빗썸 등 주요 거래소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게 관련 업계의 중론입니다.
이렇게 부실하게 상장된 코인들은 시세조종 세력에 의해 가격이 부풀려졌고, 결국 그 대가는 수많은 개미 투자자들에게 떠넘겨졌습니다.
반면 코인 발행세력은 막대한 이익을 챙겼습니다.
"갑자기 올라가는 코인들 따라 사서 돈을 좀 벌어보려고 했는데, 사자마자 올라가는 속도보다 더 빨리 떨어지더라고요."
거래소는 뒷돈 뇌물을 개인의 일탈로 치부하고 있지만, 사실상 이런 구조를 방치왔다는게 업계 내부 지적입니다.
"도의적인 책임이 있다는 이야기를 해야하는데, 개인의 일탈이라서 일탈한 직원들에 대해서 소송할 생각도 있다 그렇게만 써둬서…"
믿었던 5대 거래소 중 일부마저 뇌물 상장과 시세조종이 확인된 가운데 검찰 수사는 더 윗선 가담자가 있는지 또, 다른 거래소에는 문제가 없는지로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가상화폐 #뒷돈 #깜깜이 #상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