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75주년을 맞은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반쪽으로 개최됐다. 지난해엔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했던 윤석열 대통령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불참하는 등 여당 지도부는 일부만 참석하면서다. 야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지도부가 전원 참석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도 별도 참배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4·3은 김일성 지시” 주장으로 불거진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독한 75주년 추념사에서 “무고한 4·3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들의 아픔을 국민과 함께 어루만지는 일은 자유와 인권을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당연한 의무”라며 “정부는 4·3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생존 희생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잊지 않고 보듬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한·미 정상회담 등 방미 준비” 등의 이유로 윤 대통령이 불참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 것에 대해 적절한지 고민했고, 올해는 총리가 가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했다. 한 총리는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윤 대통령이 추념식에 상당히 가고 싶어 했다고 들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을 비판했다. 이재명 대표는 제주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4·3이 김일성의 지시로 촉발됐다고 망언한 여당 지도부는 사과 한마디 하지 않고, 공산 세력에 의한 폭동이라 폄훼한 인사도 진실화해위원장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4·3의 완전한 해결이라던 대통령의 약속은 부도났다”고 말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추념식인데 정작 대통령은 물론 여당의 대표, 지도부 모두 보이지 않는다. 이것이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2301?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