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한국이 먼저 손을 내밀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한일관계 새 시대 열겠다며 일제 강제징용 배상 해법을 내놨습니다.
일본도 일단 호응하면서 오늘 한국과 일본 모두 긴박하게 움직였는데요.
우리가 내놓은 해법, 우회로를 찾았습니다.
배상은 우리나라 기업이 참여하는 재단이 하되, 대신 일본 전범기업들은 미래청년기금에 참여토록 유도하는 방식인데요.
결단이라는 평가와 굴욕이라는 평가가 엇갈립니다.
2018년 10월 대법원 배상 판결 이후 꽉 막혔던 한일 관계 돌파구가 될지 집중 전해드리겠습니다.
정부 발표 내용부터 김윤수 기자가 시작합니다.
[기자]
우리 정부가 오늘 제시한 해법은 '제 3자 변제'입니다.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이 일본 피고 기업을 대신해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우회로를 선택한 겁니다.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원고는 총 15명으로 한 명당 최대 2억1000만 원의 배상금이 지급됩니다.
정부는 지연이자 등을 합친 약 40억 원의 돈을 포스코, 한국전력 등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당시 수혜를 입은 기업 16곳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마련하기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또, 우리 정부는 한일 재계 대표인 전경련과 게이단렌을 중심으로 양측 기업이 자발적으로 돈을 내는 '미래청년기금' 창설 계획도 밝혔습니다.
양국 청년 교류 증진에 사용될 기금으로 일본 기업들에게 사실상 간접 배상을 유도하는 길을 마련한 겁니다.
한일 외교 소식통은 "미쓰비시중공업, 일본제철 등 일본 피고기업들의 기금 참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박진 / 외교부장관]
"물 컵에 물이 절반 이상은 찼다고 생각을 합니다.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에 따라서 그 물 컵은 더 채워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에대해 일본 정부는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앞으로도 이어가겠단 뜻을 표명했습니다.
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
영상취재: 김기범
영상편집: 이혜리
김윤수 기자 ys@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