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CES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 가운데 하나가 자동차와 같은 모빌리티 기술인데요.
올해도 전기차와 자율주행을 필두로 한 다양한 모빌리티 기술이 소개됐습니다.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철희 기자!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도 모빌리티가 화제가 됐죠?
[기자]
네, 지금 저는 컨벤션센터 중앙과 좌우를 잇는 모빌리티센터에 나와 있는데요. 정식 명칭은 베이거스 루프 정거장입니다.
이 에스컬레이터를 내려가면 바로 차량을 탑승할 수 있는데요.
내려가면서 더 자세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심 지하에 긴 터널을 뚫고 자율주행차를 좌우로 오갈 수 있도록 해 교통체증을 해소하겠는 게 원래 계획이었습니다.
현재 저희 취재진이 몇 번 베이거스루프를 타고 컨벤션센터 좌우를 이동해봤는데요.
걸어서 10~20분 정 걸리던 거리가 2~3분이면 주파가 가능했습니다.
다만 원래 계획보다는 훨씬 느린 시속 30km 정도로 속도로 이동했고요.
완전 자율주행이 아니라 기사가 탑승한 채로 직접 주행 차를 모는 모습을 개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루프를 타고 이동해 CES 전시장 안으로 들어가도 여러 가지 혁신적인 모빌리티 차량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한국 기업 가운데에서는 현대모빌리스가 직접 포문을 열었습니다. 차량 바퀴마다 조향장치와 제동장치가 달려 있어 옆으로 이동하는 것은 물론 제자리 회전까지 가능합니다.
BMW도 새로운 콘셉트카를 선보였는데, 이 차량은 음성 인식이 가능한 것은 물론 자유자재로 차량의 색을 바꾸거나 바깥 패널을 변화시켜 사람 표정을 따라 할 수도 있습니다.
소니가 혼다와 힘을 합쳐 내놓은 신제품 역시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 차량은 안팎에 탑재한 45개의 센서를 통해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여기에 게임 명가답게 차 안에서 게임이나 음악을 즐기는 것은 물론 증강현실까지 체험할 수 있게 하겠다는 야심 찬 포부를 내놨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차들이 굴러가려면 그 안에 들어가는 부품이나 장치들도 많이 필요할 텐데요.
이 분야에서도 혁신이 좀 있었습니까?
[기자]
네, 말씀하신 것처럼 아무리 혁신적인 차량이라도 안에 들어가는 부품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제대로 구동하지 않을 텐데요... (중략)
YTN 김철희 (kchee21@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10708223473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