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번 연합훈련에 일본이 참여한 점 또 자위대를 독도 근방에 투입시켰다는 점을 ‘친일’의 근거로 설명했지요.
그렇다면 이 대표 말대로 정말 일본과 훈련한 게 그렇게 이례적인 건지 ‘독도’와 관련해선 어떻게 봐야 하는지 궁금해집니다.
김윤수 기자가 ‘객관적으로’ 팩트를 따져봤습니다.
[기자]
정치권의 '친일 국방' 논란에 국방부는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정치적 공세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는게 적절치 않다"는 판단에서입니다.
한미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의 경우 인도적 차원의 수색·구조 훈련을 2017년 10월까지 수시로 실시해왔습니다.
미사일 탐지·추적 훈련은 2016년과 2017년에 모두 6차례 실시했는데, 북한이 쏜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넘어 태평양까지 날아간
2017년 8월과 9월 이후 두 차례 훈련은 문재인 정부 시절에 이뤄졌습니다.
특히 2017년 10월엔 송영무 당시 국방부 장관이 미·일 국방 수장과 만나 미사일 탐지 훈련의 지속적인 실시를 합의하기도 했습니다.
우리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함정이 같은 수역에 모인 것은 아니고 한국과 일본 해역에서 각자 미사일을 탐지·추적하는 형식이었습니다.
한미일 대잠 훈련은 2017년 4월 처음 실시된 후 지난 달 5년 만에 재개됐습니다.
우리 군은 이번 훈련이 독도 인근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공해상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합니다.
군은 오히려 일본 본토와 더 가까운 곳에서 훈련했다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김승겸 / 합참의장(지난 6일)]
"독도와는 185km 떨어져 있었고, 그다음에 일본 본토와는 120km 떨어져 있는 곳으로 제가 알고 있습니다."
한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함대가 독도 해상에서 처음 연합 훈련을 한 건 2009년 7월 입니다.
독도 동남방 80㎞ 해상에서 수색 구조 훈련을 했습니다.
이후 한·일 연합훈련은 주로 제주도 남방 해역 등지에서 실시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
영상편집 구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