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영우는 판타지, 김정훈은 현실…고래점프 해법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2022-07-30 38

우영우는 판타지, 김정훈은 현실…고래점프 해법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오프닝: 이광빈 기자]

드라마 '우영우' 돌풍이 뜨겁습니다.

발달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며 대중매체는 장애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우리 사회는 장애를 어떻게 품을 것인가,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정다예 기자입니다.

[발달장애인 주인공 '우영우' 신드롬이 남긴 것 / 정다예 기자]

회전문 하나 통과 못해 쩔쩔매지만, 천재적인 두뇌와 남다른 시선으로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우영우.

당당하고 사랑스러운 신입 변호사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시청률 0.9%로 시작한 이 드라마는 매회 기록을 갈아치우며 8회 만에 13%를 넘어섰고, 넷플릭스 비영어 드라마 부문 1위를 기록하는 등 해외에서도 인기입니다.

"제 이름은 똑바로 읽어도 거꾸로 읽어도 우영우입니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우영우"

랩을 뱉듯 자기소개를 하고, 눈을 동그랗게 뜨며 할 말은 하고 마는 '엉뚱한' 주인공.

기존 영화나 드라마가 자폐를 극복해야 할 대상이나 배척당하는 원인으로 그렸다면, '우영우'는 유쾌한 모습을 내세웠습니다.

덕분에 장애인의 투쟁기가 아닌, 여느 사회 일원으로서의 성장기가 주요 서사로 자리잡습니다.

여기에 우영우를 믿고 도와주는 선한 동료들이 가세, 악역 없는 '힐링 드라마'로 인기 몰이 중.

"함께 포용해야지만 인간다운 공동체가 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드라마에요. 인간에 대한 낙관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진일보한, 보다 성숙한 서사로 장애를 다루며 사회 인식 개선에 기여했지만, 이런저런 논쟁도 뒤따릅니다.

"판타지에 불과하다", "보는 내내 씁쓸했다"

실제 발달장애 가족들은 드라마를 보고 복잡한 마음.

'우영우'도 결국 비상한 능력을 가진, 극소수의 자폐 스펙트럼이 갖는 '서번트 증후군'을 그리고 있어서입니다.

거기다 '예쁘고 귀여운', 능력있는 집단에 속한 주인공의 모습은 외려 편견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명문대 출신의 능력 있는 변호사라는, 정상성의 프레임에 있죠. 그 범주에 맞는 장애인만 훌륭한 장애인이다, 이런 오해를 또 촉발할 수가 있고."

우영우의 장애가 그저 하나의 '다름'으로 다가오는 건, 우영우가 말했듯 '봄날의 햇살' 같은 주변의 배려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먼저 현실 속 우영우의 동료가 되는 것, 드라마 '우영우'가 남긴 과제일지도 모릅니다.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이광빈 기자]

발달 장애를 가진 자녀와 그 가족이 세상을 등지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발달 장애인의 가족들은 상당한 물리적, 정서적 부담을 져야 합니다. 자녀를 맡길 시설을 구하는 일도 쉽지 않은데다, 가족이 직접 돌볼 경우 경제적 활동을 하기도 어려워 생계에 대한 압박도 커집니다.

이 내용은 곽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아이보다 하루만 더"…발달장애인 가족의 그늘 / 곽준영 기자]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50대 여성 백용화 씨는 퇴근길에도 남들처럼 여유있는 저녁을 기대하긴 힘듭니다.

온종일 노인들을 돌보느라 지칠대로 지쳤지만 지금부턴 또다른 돌봄이 시작됩니다.

주간활동서비스를 이용 중인 27살의 발달장애인 아들, 창현 씨가 집에 돌아갈 시간입니다.

"창현아 집에 가자. 잘 지냈냐."

"(칼국수)"

"칼국수? 오늘도 메뉴가 똑같아."

"신발 잘 신고 선생님한테 인사하자. (안녕히 계세요.)"

다른 사람과 함께 타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행여나 돌발 상황이 벌어질까 늘 6층까지 계단을 함께 오르내립니다.

매번 그 과정조차도 몇번의 설득이 필요합니다.

"아이고 진짜. 내려오세요 내려와 내려와봐 그렇지 잘했어."

아들의 행동이 남들과 다르다는 것을 처음 알게된 건 창현 씨의 첫돌이 지났을 무렵 6살이 되던 해 최종 자폐성 발달장애 판정을 받았습니다.

아이가 평생 장애인으로 살아야한단 현실도 받아들이기 힘들었지만 돌봄 시설을 찾는 것 역시 쉽지 않았습니다.

"주간보호센터에 가서 상담을 했어요. 그런데 얘가 막 뛰거나 소리 지르거나 바닥에 엎드려서 이런 문제 되는 행동을 했어요. 어떻게 보면 면접본 건데 떨어진 거죠 '이래서 안 되겠어요, 우리 기관하곤 안 맞네요' 이런 식이니…"

전국의 발달장애인 인구는 약 25만명입니다.

이들을 위한 주간보호센터는 800여 곳, 주간활동서비스는 300여 곳 정도입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수용 시설인 평생교육센터는 30여 곳이지만 이마저도 대부분 서울에 몰려있습니다.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는 대신 특수학교에 가거나 취업 교육을 받는 인구 등을 제외해도 돌봄시설은 크게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최중증이신 분들은 주간보호 같은 시설이나 복지관 이런 데는 들어갈 수가 없거든요. 기관은 한정돼 있고 이용자는 또 꽉 차 있기 때문에 거의 1년 정도는 기다릴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발달장애인의 가족들을 더욱 힘들 게 하는 건 경제적 이유입니다.

다른 장애인들보다 돌봄에 절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해 직장을 관두거나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정부가 가정 소득 별로 월 30만원 대의 장애인연금과 최대 4만원의 장애수당을 지급하지만 역부족이란 목소리가 나옵니다.

"장애아동 같은 경우 학교 어린이집 외 특수 교육 치료를 하기 때문에 양육자 동행이 더 필요한 상황이에요. 고학력이나 전문직의 경우도 경력을 단절하고 아이 상황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양육에 대한 부담으로 최근 40대 여성이 발달장애 6살 아들을 안고 투신하는 등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일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복되는 끔찍한 사건들을 국가가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