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연속 '근로·사업소득' 늘었지만...고물가로 체감은 '글쎄' / YTN

2022-02-24 0

지난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소비지출 증가
물가 급등해 실질소득 증가율 2.8% 그쳐
소득분배지표 개선…5분위배율 5.71배(0.07배p↓)
소비지출 5.8%↑, 12년 만에 최대 증가


고용시장 호조와 경기회복 영향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3분기 연속으로 증가하고 소득분배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너무 올라서 그만큼 소비 지출도 늘어났고, 체감 정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행되면서 지난해 4분기 음식·숙박과 의류, 교육 지출은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소비가 늘며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사업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자영업자는 4만 8천 명이 늘었습니다.

근로소득도 상승했습니다.

임금근로자가 64만 명 가까이 증가한 영향으로 근로소득은 5.6% 늘었습니다.

기초 사회안전망 강화와 2차 추경 집행으로 공적이전 소득도 10.7%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4분기 가계 총소득은 1년 전보다 6% 넘게 늘며 분기 기준으로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근로·사업소득은 3분기 연속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4분기 실질소득 증가율은 2.8%에 그쳤습니다.

[이진석 /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 : 이번 4분기의 특징은 서비스 업황 호조라든가 고용상황 호조 등에 의해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증가해서 소득이 늘어난 측면이 있습니다.]

대표 소득분배지표인 5분위 배율은 하위 20%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개선됐습니다.

지난해 4분기 5분위 배율은 5.71배로, 전년동기 대비 0.07배 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5.5%가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의류·신발과 오락·문화, 음식·숙박이 크게 늘며 5.8% 증가해 1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습니다.

물가 영향을 뺀 실질 소비지출은 2.2% 증가해 전체 증가율 중 3.6% 포인트는 물가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나타났습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은 4.8% 증가했습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YTN 오인석 (insuko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224212020723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