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치료제 내년 1분기에…환자 이송체계는 '불안'
[앵커]
단계적 일상회복은 반가운 일이지만, 외국 사례에서 보듯 확진자가 또 급증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일이 벌어져도 방역, 의료체계가 감당 가능하냐인데요.
먹는 치료제 확보를 비롯한 일상회복의 전제 조건들이 얼마나 충족됐는지 김민혜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면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나, 코로나 확진자는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예방보다 치료가 중요해지는 만큼, 치료제 확보가 필수입니다.
정부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 40만 4,000명분을 선구매하거나 할 예정입니다.
"MSD사와 20만 명분의 구매계약을 완료했고 화이자사와는 7만 명분에 대한 선구매 약관을 각각 체결했습니다. 13만 4천 명분에 대한 선구매 계약도 조속히 확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약은 내년 1분기부터 들어오는데,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증·중등증 환자에 처방됩니다.
치료의 중심도 병원, 생활치료센터에서 재택치료로 바뀝니다.
중등증, 중증 환자는 지금처럼 병원에서 치료받지만, 70세 이상이나 투석환자 등을 제외한 무증상·경증 환자는 재택치료 대상입니다.
다만, 재택치료 안착에는 중증화한 환자의 신속한 이송체계 구축이 필수인데, 지난 24일 서울에서 재택치료 중이던 환자가 당국 간 정보 공유 차질로 이송이 늦어져 숨지는 일이 발생한 만큼, 안심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또 다른 과제는 백신 접종률을 더 끌어올려 중증화나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겁니다.
연말까지 국민 접종 완료율 80% 이상 달성이 정부 목표인데, 그러려면 이상반응에 대한 적극적 치료 지원으로 불안감부터 해소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시 인과관계가 설명되지 않더라도 시간상 등 관계에서 부작용으로 의심된다면 우선 지원을 해주시고…."
정부는 또 역학조사 효율화를 위해 접촉자 격리기간도 2주에서 열흘로 줄일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