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정아 앵커
■ 출연 : 김경우 /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1600명대를 기록하면서 8일째 천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에 들어가기 전징검다리로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2주 더 연장했는데요.
자세한 코로나19 현황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진단해 보겠습니다. 교수님, 어서 오십시오. 조금 전에 확진자 현황이 나왔으니까 이 내용부터 보겠습니다. 어제 확진자는 1618명. 지금 8일째 2000명대 미만으로 유지가 되고 있는데요. 조심스럽긴 하지만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이렇게 봐도 될까요?
[김경우]
그렇습니다. 추석 연휴 때 최정점을 찍고 지난주에 한 20% 감소세가 이번 주에도 이어질 것 같은데요. 아직 하지만 확진자 규모 자체가 많아서 우리가 6월달만 해도 500~600명대 신규 확진자가 나오던 때와 비교하면 여전히 많은 숫자고 우리가 방역망 내 관리 분율이라든지 감염경로 조사분율 같은 역량 같은 경우에도 감당하기에는 아직 많은 수치다 이렇게 봐야 될 것 같은데요.
앞으로 감소 수치가 계속 지속돼서 우리가 확진자가 줄어들고 역학조사 역량이 더 회복할 수 있다면 감소세를 더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는데 변수라고 하게 되면 이번 거리두기 조정이 완화되고 사람들 간에 만남이나 이런 것들이 많아질 때 어느 정도 다시 감소세가 둔화될 것인가.
그리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환기가 줄어들게 되면 또 감염 전파 위험이 어느 정도 높아질지 그런 우려할 점이 남아있는데요. 아무래도 이런 감소세가 전반적인 근본적으로 전 국민의 백신 접종 완료율 증가로 인한, 면역력 증가에 의한 근본적인 감소세의 효과라고 하게 되면 조금 더 긍정적으로 기대해 볼 부분이 더 많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다음 주에 방역조치가 완화되는 것, 그리고 계절적 요인 이런 부분이 앞으로 변수가 될 수 있는 이런 상황에서 지금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는 듯하지만 끝까지 조심해야 된다, 이런 말씀으로 들리는데요. 백신 접종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말씀해 주셨는데 지금 60%를 넘어섰고요. 10월 25일쯤 되면 70% 당국이 예상하는 상황 아니겠습니까?
[김경우]
그렇습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016102502259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