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봉산에 이어 경기 의왕 청계산과 수리산 일대에도 돌발 해충인 ‘대벌레’ 비상이 걸렸다.
21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3일 청계산 매봉 일대에서 등산객으로부터 대벌레 발생 신고가 접수됐다. 이후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가 피해 조사를 벌인 결과, 청계산은 물론 인근 수리산의 감투봉과 능내정 일대에서도 대벌레의 집중 발생이 확인됐다.
━
청계산 매봉, 수리산 감투봉·능내정 일대
대벌레는 7~10cm까지 자라는 대나무 모양을 한 벌레다. 나뭇잎을 대량으로 먹어치우며 활엽수를 가해하는 곤충이다. 피해받은 나무가 고사하거나 죽지는 않으나 산림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다. 연 1회 발생하며 7월부터 늦가을까지 땅 위에 산란해 알로 월동하다가 3월 하순~4월에 부화한다. 주요 방제방법으로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 방제 등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 상황은 이례적이다. 전문가들은 겨울철 이상 고온으로 알의 생존율이 높아진 데다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천적 감소 등 생태계 교란 등이 대벌레 대량 출현의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김동언 국립생태원 외래생물연구팀 박사는 “곤충의 생활주기는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최근에 겨울과 여름의 기온이 높아지면서 번식능력이 좋아지고 있다”며 “기온이 올라가면서 알에서 성충이 되는 기간이 짧아지고 있고, 유충의 초기 생존율까지 급격히 높아지다 보니까 (여름철 벌레의)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도, 지상 방제 이...
기사 원문 : https://news.joins.com/article/2411037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