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아리서 쏟아진 금속활자…세종 시대 과학 유산도
[앵커]
서울 종로구 인사동 일대에서 1천600여 점의 금속활자가 한꺼번에 발견됐습니다.
세종 시대의 과학 유산들도 출토돼 학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만 사용된 '동국정운'식 표기법.
한자음 대신 우리 표준음을 정립하고자 했던 세종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이 표기법을 쓴 금속 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울 공평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부지 내 유적에선 이를 비롯한 조선 전기의 금속 활자들이 항아리에서 쏟아졌습니다.
그 수는 약 1,600여 점. 크기와 형태, 서체도 다양합니다.
"활자의 모양, 크기 이런 것들을 실물로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활자 인쇄 발달사를 복원해 나가는 데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엔 1434년 만들어진 '갑인자'로 추정되는 한자 활자도 다수 포함됐습니다.
연구 결과 '갑인자'로 확인되면 구텐베르크의 인쇄 시기보다 앞서 제작된 금속활자를 최초로 확보하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이번 발굴에선 세종 때의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 일부와 자동 물시계의 주전으로 보이는 동제품, 동종과 총통도 함께 나왔습니다.
특히 '일성정시의'는 그동안 기록으로만 전해온 것으로, 세종대 과학기술과 유물 복원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전망입니다.
다만 이 같은 금속 유물을 누가, 왜 매립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동이 귀하니 잘라두고 재활용을 하려다가 급박한 사건이 생겨 묻어두고 피치 못할 사정으로 못 돌아와서 현재까지 묻혀 있어 전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출토된 유물들은 보존처리와 분석 과정을 거쳐 분야별 연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js17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