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ㆍ미 정상회담 뒤 나온 ‘백신 외교 성적표’는 크게 두 갈래로 요약된다.
우선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포괄적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는데, 핵심은 양국을 넘어 전세계 백신 공급 확대를 위한 협력이다. 또 미국이 한국군 55만명에 대한 백신을 제공하기로 했다.
미국과의 백신 파트너십 구축은 한국이 우수한 백신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백신 공급망 차원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됐다는 의미가 있다. 한국군만을 위한 백신 확보 역시 아직 전례가 없는 평가할 만한 성과다.
하지만 이는 당초 정부가 ‘백신 스와프’까지 언급하며 상반기에 필요한 추가 물량을 확보하겠다고 한 것과는 성격이 다소 다른 결과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백신 확보를 위한)가능한 모든 대안을 검토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 중 하나로 스와프가 검토됐던 것”이라며 “한국보다 공공의료 체계도 훨씬 부실하고 치명률도 높은 취약국가들이 있는데, 미국으로서는 그런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위시리스트를 다 (달성)하려고 하는 것은 동맹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외교의 어떤 기본은 아니다” “100가지를 요구해서 100가지를 다 들어주게 할 수는 없다” 등의 부연도 했다.
요약하자면 정부는 스와프라는 개념으로 미국의 여유분 백신을 나눠달라고 요청했으나, 미국은 한국보다 사정이 어려운 나라가 많다며 수용하지 않은 셈이다...
기사 원문 : https://news.joins.com/article/24064229?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