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오스틴 미 국방장관을 동시에 만났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 첫 합을 맞춰본 건데, 한반도 정세를 보는 시각이 일치하진 않았습니다.
미 국무장관은 북한을 압제 정권이라고 비난했고, 북한은 군사도발을 시사했습니다.
한수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5년 만의 한미 2+2 회담은 예정된 90분을 넘겨 길게 진행됐습니다.
회의에서 이견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오기도 했습니다.
북한 비핵화냐, 한반도 비핵화냐, 한미 외교장관의 발언은 미묘하게 달랐습니다.
[토니 블링컨 / 미국 국무장관]
"우리는 북한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정의용 / 외교부 장관]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는 달성이 가능하다."
미일 공동성명에도 들어갔던 '완전한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 대신 한미 공동성명엔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라는 문구가 들어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작심한 듯 북한 인권 문제도 꺼내들었습니다.
[토니 블링컨 / 미국 국무장관]
"북한 주민들은 압제적 정권 밑에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유린을 당하고 있습니다."
앞서 북한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대북 적대정책 철회 없이는 대화도 없다"며 군사적 도발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직후를 연상케 합니다.
[최선희 / 북한 외무성 제1부상(지난 2019년 3월)]
"미국의 강도적 입장은 사태를 분명 위험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미국은 중국 압박을 위한 동맹국 전선에 동참해줄 것을 강조했지만, 정작 성명서에는 중국의 '중'도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중국 관영매체는 "한국이 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해 미국의 '반중 동맹'에서 '약한 고리'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북한과 중국이 갈수록 서로 밀착하는 가운데, 대한민국 외교가 선택의 기로에 섰습니다."
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
sooah72@donga.com
영상취재: 한일웅
영상편집: 배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