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실내체육시설들을 대상으로 집합금지명령을 보름 동안 연장했지만, 일부 헬스장은 경영난을 호소하며 운영을 강행하기로 했습니다.
정부의 차별적인 지침에 항의하는 일종의 '시위'라며, 운영이 허용된 다른 시설만큼 실내체육업소도 안전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박희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실내체육시설을 대상으로 집합금지명령이 재연장된 첫날.
헬스클럽을 운영하는 김성우 씨는 지난 6주 동안 집합금지로 5천만 원을 손실 봤다며 운영을 재개했습니다.
회원들의 환불 요청 쇄도로 버티기가 어려워 생존권과 영업권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시위라는 겁니다.
[김성우 / 헬스클럽 관장 : 과태료든 벌금이든 영업정지든 이게 문제가 아니라 저희의 생존권을 위해서 영업권을 위해서 이렇게 나설 수밖에 없(습니다.).]
구청 측에선 과태료를 부과하고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김 씨는 제한 영업이라도 허용될 때까지 문을 열겠다고 맞섰습니다.
[김성우 / 헬스클럽 관장 : 17일 이후도 집합금지가 재연장될 수 있습니다. 스키장처럼 제한적 운영이라도 하게 해달라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제가 오픈한 건 하나의 1인 시위고….]
지난해 PT 시설을 연 이길환 씨는 운영은 하지 않되, 실내 전등을 켜두는 이른바 '오픈 시위'에 들어갔습니다.
이 씨는 회원 명부를 잘 관리했는데도, 운동시설이란 이유로 집합금지 대상이 된 걸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길환 / PT시설 대표 : 저희는 특정 회원님들이 수업을 나오시거나 이용하는 거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경우는 아니어서….]
현재 전국 헬스장 가운데 최소 천 곳이 개관을 강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또, 당구장과 필라테스, 요가를 비롯한 실내체육시설 관계자들은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9명씩 모여 1인 시위 형식으로 항의 집회를 열고 있습니다.
특히 같은 실내 운동 시설인데도, 발레를 비롯한 운동학원은 교육 시설로 분류돼 운영이 허용됐다며 이는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상대 / 필라테스·헬스클럽 업체 대표 : 정부의 정책 취지를 따르지 않겠다는 게 아니라 생활과 직결돼있기 때문에, 이걸 고려해서 형평성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정부가 수정해서 발표해주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는 17일까지 집합금지명령이 내려진 가운데 실내체육시설 업주들은 지침...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10421462105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