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확보 출발 늦은 정부…‘7월 시작’ 한-일 차이는?

2020-12-21 4



송년 모임도 못하게 되는 최악의 연말을 맞게 됐는데요. 어쩌다 이렇게 된 건지, 경제정책산업부 김단비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Q. 백신부터 살펴보죠. 아직도 백신을 못 구한 가장 큰 이유가 뭡니까?

한 마디로 방심했습니다. 1차 유행 때 해외 상황을 관찰하고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좋았을텐데요.

대구, 경북 1차 대유행이 시작된 2월, 3월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들의 백신 경쟁이 치열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씨앗을 뿌리는 작업들은 있었습니다.

미국의 경우 7월에 화이자 측과 공급 체결 계약을 맺었는데요.

화이자가 임상 1·2상을 시작했던 3월부터 계약을 위해 꾸준히 물밑작업을 벌였고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자 곧바로 계약을 추진할 수 있었습니다.

Q. 2월에는 때를 놓쳤다고 해도, 일본은 여름부터 뛰어다녀서 지금 5억회분을 구했다고 해요. 그런데 우리도 여름부터 백신 TF팀을 꾸렸잖아요?

7월 만해도 일본과 우리나라 상황이 비슷했습니다. 일본에서 백신 협상팀이 꾸려지고, 저희도 백신 수급 TF가 만들어집니다.

이후 전략에서 차이가 났습니다.

우리는 임상 3상까지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을 구매하자는 원칙이 있었기 때문에 해외 백신 동향을 검토하며 백신 구매를 주저했습니다.

확진자가 100명대를 유지하자, K 방역을 믿고 자만했다는 비판도 나오는데요.

반면 일본은 전담팀을 꾸린 뒤 곧바로 제약사의 면책권을 인정해주는 법안을 처리합니다.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생겼을 때 국가가 책임져준다는 내용인데요.

제약사의 부담을 덜어 준 전략이 계약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제가 취재한 한 전문가는 "우리가 제약사 접촉이 아예 늦은 건 아니다.

다만 계약 당시 제약사의 면책 요구를 받아드릴 준비가 안 돼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백신은 팬데믹 상황에서 일종의 보험인데요.

먼저 확보한 뒤 안전성 여부 등을 따져봐도 되는데 상황 판단을 제대로 못한 겁니다.

Q. 공무원들이 책임지지 않으려는 보신주의도 한몫 한 건가요?

메르스와 신종플루를 겪으면서 공무원들이 트라우마가 생겼다고 하는데요.

신종플루때만 해도 백신 재고 처리 문제로 한달간 감사를 받기도 했습니다.

코로나 백신 확보 논의가 한창이던 9월에 독감 백신 안전성 문제로 접종이 중단됐었는데요.

이 일로 공무원 위주로 구성된 백신 TF에서도 코로나 백신 선구매는 더욱 신중히 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됐었다고 합니다.

책임지고 컨트롤타워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채널A 취재진이 여러 방법으로 백신 TF 명단을 파악해보려고 했는데요.

정부는 공개불가 원칙을 고수했습니다.

Q. 대구·경북 교훈 있었는데 병상 문제 왜 심각?

1차 대유행 당시 대구 동산병원은 병상을 비우고 코로나 거점 전담병원으로 큰 역할을 했습니다.

처음 해보는 일이니 여러 문제점도 드러났고 이미 그때 전문가들이 다가올 대유행을 대비해 그런 문제점들을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확진자가 급증할 경우 경증부터 위중증 병상을 한곳에 모아 진료해야 하고, 중증환자 전담 의료진 확충, 제대로 된 보상이 필요하다는 점이었지만 결국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저와 통화한 한 전문가는 수도권에도 거점병원을 지정해야한다고 수차례 정책 제안을 했지만 반영이 안됐다고 말했습니다.

대구경북 대유행에서 얻은 교훈을 쉽게 잊은게 지금의 병상 문제를 불러온 셈입니다.

Q. 코로나 백신 확보 해결 방안은?

지금이라도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다양한 제약사와 접촉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단순히 한 번 접종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크기 때문인데요.

임상 1, 2단계에 있더라도 개발 가능성이 높은 곳들과 연결 고리를 만들고 백신 수급 계획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전문가들 이야기 충분히 들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