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부터 시작한 코로나19 백신 협상 내용을 정부가 오늘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궁금증을 경제정책산업부 김단비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Q1. 영국은 벌써 접종을 시작했는데,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맞을 수 있다고 딱 밝히지를 않았어요. 내년 하반기, 상반기 추측만 있는데요.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내년 초 3, 4월까지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백신은 아스트레제네카 백신입니다.
우리 국민 천만 명, 국민의 약 20%만 접종할 수 있는 물량인데요.
화이자, 모더나, 얀센은 물량 확보는 됐다고 해도 내년 봄까지 공급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데요.
선진국에 공급 순위가 밀려 내년 하반기 이후 공급되면 접종 시기는 그만큼 미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아스트라네카 백신을 상반기에 먼저 맞히고, 나머지는 순서대로 접종할지, 백신을 일제히 확보한 뒤 접종할 지도 결정해야합니다.
Q2. 안전성 때문에 접종 시작을 늦출 수는 있지만, 그래도 일단 확보는 빨리 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안전성이 검증되면 바로 접종을 시작하려면요.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전파 양상이 해외보다 심각하지 않아서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백신을 성급하게 들여오는 것보다
외국 사례를 충분히 관찰한 뒤 들여와도 늦지 않는다고 설명했는데요.
하지만 오늘 제가 통화한 전문가들 대부분은 백신 구입 속도가 너무 늦다고 지적했습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만큼 일단 물량을 확보하고 검증은 그 다음이라는 겁니다.
[김우주]
"백신은 불확실성이 있는 것이고 변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백신도 전 국민 접종량을 단기간에 확보해서 가급적 빨리 접종하는 쪽으로 계획을 세워야지"
Q3. 오늘 브리핑에서도 외국에 비해 물량 확보도 적고 시기도 늦는거 아니냐 이런 지적들이 나왔어요?
글로벌 제약사들은 각 국가와 협상을 하면서 공통적으로 부작용이 발생해도 제약사 책임으로 돌리지 않고, 정부가 보상하고 책임진다는 면책 조항을 요구했는데요.
일본의 경우 부작용으로 인한 기업 배상도 정부가 지기로 하는등 적극적으로 제약사의 부담을 덜어주는 전략으로 빨리, 충분한 물량을 확보했는데요.
우리 정부도 인정한대로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라 우리만 거부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면 좀 더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는 자세도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Q4. 실제 부작용은 걱정 안해도 되는겁니까?
정부는 부작용 등을 고려해서 백신 제조 방식에 따라 각각 2곳의 업체를 선정했습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코로나 바이러스 유전 정보가 담긴 백신을 주입해 항체를 만들어내는 거고요.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은 약해진 코로나 바이러스를 단백질로 포장해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백신들 모두 전신 통증이나 쇼크 같은 심각한 부작용은 없는 걸로 알려졌는데요.
문제는 이렇게 대규모로 사용되는게 처음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상황이 나올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해외의 경우 전국민 접종 물량이나 2배 많게는 5배까지 이미 확보한 곳도 있습니다.
부작용에 따라 폐기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는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Q5. 독감 백신은 접종자가 백신 종류를 고를 수 있잖아요? 코로나 백신도, 난 화이자, 난 모더나 이렇게 선택이 가능합니까?
결론적으로는 정부 결정을 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한 여론조사를 보면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백신을 접종하겠다고 응답했는데요.
물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백신에 접종자가 몰리면 백신 품귀 대란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