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 없이 고기 맛이 나는 기적!’
롯데리아가 지난 2월 식물성 대체육 버거 ‘미라클 버거’를 출시하며 내세운 문구입니다. '미라클 버거'는 식물성 패티로 만든 첫 국내 패스트푸드 버거입니다. 고기 없이 고기 맛을 냈다는 걸 ‘기적’이라 표현했습니다. 롯데리아는 이달 16일에도 글로벌 식품회사 네슬레의 식물성 단백질 브랜드 ‘스위트어스’ 패티를 사용한 신제품 ‘스위트어스 어썸 버거’를 선보였습니다.
이처럼 국내 식품업계에도 고기 맛을 최대한 따라한 식물성 대체육 제품이 늘고 있습니다. 지난 9월에는 샌드위치 브랜드 써브웨이가 식물성 대체육을 넣은 메뉴 ‘얼터밋 썹’을 출시했습니다. 몇몇 시중 레스토랑에서는 식물성 대체육 시장을 선도하는 미국 업체 비욘드미트의 패티를 활용한 비건 메뉴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는 전 세계 대체육 시장 규모가 2017년 41억 달러(약 4조 5592억원)에서 2026년엔 81억 달러(약 9조 72억원)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식물성 대체육이 주목받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동물과 환경을 보호하고 좀 더 건강하게 먹으면서도 고기 맛은 포기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매력적이죠.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축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6.5%(2010년 기준, 세계농업기구)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미국의 푸드테크 기업 임파서블푸드는 기존 축산 고기를 자사 식물성 고기로 대체하면 토지 사용량을 96%, 온실가스 배출량을 89% 가량 줄일 수 있다고 추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장점이 많아도 육식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식물성 고기가 선택을 받기에는 아직...
기사 원문 : https://news.joins.com/article/23932004?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