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은 뒷전' 반복되는 산재 사망...'중대재해법' 이번엔? / YTN

2020-11-13 0

국내에서 산업재해로 1년에 평균 2,400여 명이 목숨을 잃는다고 합니다.

작업자의 안전은 뒷전으로 밀리는 산업 현장의 관행을 바꿀 수 있게, 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국회가 이번엔 응답할지 시선이 쏠립니다.

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4월, 38명이 숨진 이천 물류창고 화재.

용접작업 중에 튄 불꽃이 화재의 원인이었지만, 피해가 커진 이유는 따로 있었습니다.

[반기수 / 경기 남부지방경찰청 2부장 (6월 15일) : 화재나 폭발 위험 작업의 동시 시공, 임시 소방시설의 미설치, 안전관리자 미배치, 화재 예방과 피난 교육 미실시 등 전반적으로 안전관리에 소홀했습니다.]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작업자를 2배로 투입했고, 결로현상을 막으려고 대피로를 폐쇄한 게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진 겁니다.

작업자 안전보다 비용 절감 논리가 앞선 '후진국형 인재'의 반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산업 현장의 안전 규제를 강화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이른바 '김용균법'이 통과됐지만, 뿌리 깊은 안전불감증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법이 적용되는 사업장 범위가 좁은 데다 '위험 예방 비용'보다 '사고 처리 비용'이 저렴하다는 그릇된 인식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김동명 / 한국노총위원장 (지난 11일) : 산업 현장에서 희생되는 노동자는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며….]

사망사고 등 심각한 산업재해가 났을 때 사업주를 무겁게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이유입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이 법 제정에 공감한다는 답변이 60%에 이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업계는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미 사업주 처벌 형량이 세계 최고인 상황에서 추가로 처벌 수위를 높이는 건 과잉처벌'이라는 의견을 국회에 전달했습니다.

경영계의 강한 입김에 번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던 중대재해기업처벌법.

그러는 사이 일터에서 숨지는 노동자는 계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산재 피해 가족들은 노동자들이 소모품처럼 취급되지 않고 안전하게 일하도록 해달라고 오늘도 울부짖고 있습니다.

[김미숙 / 고 김용균 씨 어머니 (12일) : 또 다른 피해자가 없도록 국회가 발 벗고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1113224314740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