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당선에 수출개선 기대…환경·노동문제는 난관도
[앵커]
조 바이든의 당선으로 산업계는 통상 마찰의 불확실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도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인데, 환경·노동 정책이 새로운 통상 이슈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점은 부담입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바이든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기존의 석유 자원 의존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며 환경 문제 해결의 뜻을 나타내왔습니다.
이 같은 친환경 정책에 대한 의지, 당선 직후 대국민 승리 연설에서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우리 앞에는 기후변화를 억제해 지구를 구할 의무가 있습니다."
우리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수소차나 전기차 등 친환경차 확대에는 긍정적이지만, 전체적인 환경 규제 강화는 다른 형태의 보호무역 장치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에 바이든 당선인이 법인세와 최저임금 인상 등을 내세운 점은 현지 공장을 운영하는 우리 기업에 부담입니다.
다만 극단으로 치닫던 미중 갈등이 잦아들어 우리 경제에 숨통이 트일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수출 증가율이 연 최대 2.2% 포인트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입니다.
미국의 대중국 규제로 반사이익이 있었던 국내 반도체 업계의 유불리 여부는 아직 판단하기는 이릅니다.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압박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활동할 여지가 넓어졌었는데 그러한 부분이 변화될 수 있다고 하는 부분은 중장기적인 리스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바이든 측이 빅테크 기업의 규제 강화를 예고한 점도 반도체 등 우리 제조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