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백억 사업 들여다보니…기간제 3천 명에 2주 인터넷 교육

2020-10-19 60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을 하겠다며, 한국판 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막대한 예산을 쓰는데 단기 일자리만 만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3백억원을 투입한 사업을 들여다봤더니 그런 비판이 나올 법 합니다.

이상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이 기계 부품 업체에 조사원 2명이 방문했습니다.

안전사고 위험도를 확인하기 위해서였지만 정작 제조 설비에 대한 기본 개념도 없었습니다.

[A 업체 관계자]
"기계가 뭔지 모르는 것 같고, 저희가 작업하는 걸 본 게 아니라, 이런 건 뭐에 쓰는지(물어보고)"

다른 곳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B 업체 관계자]
"이건 어떻습니까? 그러면 우리가 안전이랄까 위험도 이야기해주는 거지."

[이상연 기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지난 8월 전국 30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근로자들의 작업 방식과 기계 설비 노후도 등을 조사해 사고 위험도를 빅데이터로 구축하는 사업을 시작했는데요.

3천명 기간제 고용에 302억원이 투입됐습니다.

3개월 근무에 교육은 1~2주짜리 인터넷 강의가 전부.

한 근로자는 확인 역량이 안 되다 보니 업체가 알아서 조사표를 작성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19로 업체 방문없이 서류가 작성되기도 했습니다.

[기간제 근로자]
"GPS만 찍고 현장 조사 거부했다 사장님이 하지 말라고 했다 하시고 그냥 오시는 분들이 있으시니까"

이런 자료가 제대로 활용될지도 의문입니다.

[정진우 /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
"안전보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단지 2주간의 이러닝만 받고 기계설비의 노후도 위험도를 파악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고요."

단기 일자리용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임이자 / 국민의 힘 의원]
"단기적으로 알바 늘리는 데만 집중돼있는 것으로 보이니까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중간 교육을 추가로 실시하겠다면서도 개별 사업장의 구체적 위험정보를 조사하는 것은 처음인 만큼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상연입니다.

영상취재 이영재
영상편집 김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