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의 당시 감청 내용에, 북한의 사살 지시가 있었느냐'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이 논란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당시 북한이 사살 지시 내린 걸 들었었다면, 이후에 별 조치를 취하지 않은 우리 정부의 책임론이 더 커지기 때문인데요.
청와대와 국방부는 감청 내용에 사살이란 용어는 없었다며 강하게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사살'을 의미하는 표현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방부가 추석 연휴 첫날인 오늘 언론 보도 반박 브리핑을 했습니다.
서해 공무원이 북한군에 피격됐을 당시 '사살한다'는 내용을 우리 군이 감청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보도에 대해서입니다.
[이두희 / 국방부 정책실장 대리]
"우리 군이 획득한 첩보 사항에 '사살, 사격' 등의 용어는 없습니다."
국방부는 관련 질문은 받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살', '사격'이라는 직접적인 단어가 없더라도 사살 정황은 파악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옵니다.
정보당국 관계자는 "북한군이 '사살'이라는 단어는 아니었지만 뜻이 같은 다른 표현을 썼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 등으로부터 보고 받은 국회 정보위·국방위원들은 "북한군의 지시가 불분명해 '죽이라는 거냐, 살리라는 거냐'는 대화도 오갔다고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민홍철 / 국회 국방위원장 (어제, TBS라디오)]
"(북한군이) '어떻게 처리할까요?' 이런 상부에 보고하는 과정 속에서 갑자기 '사격을 해라.' 그래서 고속단정이 왔다는 거죠."
청와대와 국방부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파악한 게 아니었다며 구출 등 대응이 늦었다는 주장에도 반박했습니다.
국방부는 "총격했을 정황, 불태운 정황들은 단편적인 여러 조각 첩보들을 종합 분석해 얻은 결과"라며 "상당히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재구성한 내용"이라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청와대도 "마치 군이 CCTV로 들여다보듯 실시간 파악을 하고 있었는데도 정부가 대응하지 않은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