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서비스로 떴다가 택시업계와 갈등으로 좌초된 '타다' 기억하실 겁니다.
신사업이 나올 때마다 이렇게 기존 업계와 부딪힐 수 있는데, 농어촌 빈집을 빌려주는 새로운 서비스는 민박과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했을까요?
박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27년 전 지어진 집입니다.
돌을 쌓아 만든 담장부터, 바람에 깎여나간 지붕까지.
제주의 정취가 곳곳에 담겼습니다.
한때는 주인 떠난 빈집 신세였지만, '공유민박' 사업을 통해 완벽하게 변신한 후 손님을 기다려 왔습니다.
하지만 '집주인이 건물에 거주해야 한다'는 규제에 막히고 기존 민박업계 반대에 부딪히면서 사업은 난항을 겪었습니다.
[남성준 / 농어촌 공유민박업체 대표(지난 1월)]
"스타트업이나 젊은 사람들이 뭔가 해보려고 할 때 늘 얘기하잖아요, '가만히 있어라'. 발전해가는 사회상을 도리어 막고 있는 것 아닌가."
이렇게 진통을 겪던 '공유민박' 사업이 드디어 빛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신규 사업자와 기존 민박업계가 한 발씩 양보한 겁니다.
[홍남기 / 경제부총리]
"상생 메뉴판을 활용해서, 이해관계자 각자가 한 걸음씩 양보함으로써 상생합의안이 마련되게 된 것입니다.”
농어촌 공유 민박은 5개 시군에서 연 300일 내외로 영업하는 등 제한적인 조건으로 운영합니다.
민박 사업자는 별도로 마을기금을 내야 합니다.
기존 민박업계 종사자들은 정부로부터 경쟁력 향상을 위한 컨설팅 등을 지원받습니다.
정부는 이런 농어촌 민박 사업으로 농어촌 전반의 소득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모레 이번 사안을 규제샌드박스 안건에 올리고, 숙박 안전 교육과 컨설팅에 내년 25억원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
sophia@donga.com
영상취재 : 김한익 김찬우
영상편집 : 방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