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내밀 카드는?…29일 회견 예고
[앵커]
중국이 미국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홍콩 국가보안법'을 처리하면서 이제 미국이 어떤 대응에 나설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수위만 정해지지 않았을 뿐 중국에 대한 제재는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인데요.
미국 현지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윤석이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 입니다.
[앵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홍콩보안법 강행과 관련해 29일 기자회견을 예고했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곳 현지 시간으로 금요일인 오는 29일 중국 문제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구체적인 시간은 아직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는데요.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대한 미국의 대응 방안을 밝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우리는 중국과 관련하여 우리가 하려는 것에 대해 내일 발표할 것 입니다. 우리는 중국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벌어진 일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이번 주중 발표가 있을 것"이라며 강력한 대응을 예고해왔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하루 앞서 "홍콩이 자치권을 누리는 것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하면서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른 상황입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오늘 언론 인터뷰를 통해 "중국이 큰 실수를 저질렀다면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제 미국이 내놓을 구체적인 대응 카드가 무엇일지가 주목되는데요.
[기자]
미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로는 다양한 수위와 형태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는, 미국이 지난 1997년 홍콩 주권의 중국 반환 이후에도 적용해왔던 특별지위를 대통령 행정명령으로 박탈하는 조치가 예상됩니다.
이럴 경우 홍콩에 예외적으로 적용해왔던 비자와 관세, 무역 등에서 다양한 혜택들이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제정된 미국의 '홍콩 인권법'을 근거로 홍콩의 기본권을 억압하는 인물에 대한 비자 발급을 금지하고 미국 내 자산을 동결할 수도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초기에 시행 가능성이 큰 조치로 홍콩 보안법 시행에 관련된 중국 관리와 정부, 기업에 대한 제재가 거론된다"고 미 행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미 의회도 정부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모습입니다.
상원은 뉴욕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이 기준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상장을 폐지하는 등 경제 활동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중국의 신장·위구르 지역의 인권 학대와 관련해 중국 당국자를 제재할 수 있는 인권법안도 통과시킨 상황입니다.
[앵커]
미국이 즉각적인 대응조치에 나설 경우 미국에도 부정적인 여파가 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국의 공세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당장 홍콩에 아시아 본부를 둔 300여개의 미국 기업이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 있는 건데요,
블룸버그 통신은 "코로나19 사태로 휘청거리는 미국 경제에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미·중 관계를 더 깊은 위기로 빠뜨리며 새로운 무역 합의에 대한 어떤 희망도 무산시킬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년여에 걸친 '무역 전쟁' 끝에 가까스로 합의한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의 이행은 물론 후속 합의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싱턴 정가에서는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재선 전략 차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때리기'에서 물러서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앵커]
북한 관련 내용도 짚어보겠습니다.
미 법무부가 대규모 돈세탁에 관여한 혐의로 북한과 중국인 30여명을 무더기로 기소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미 법무부가 25억 달러, 우리 돈 3조1천억원 규모의 자금을 세탁한 혐의로 북한 국적 28명과 중국 국적 5명 등 30여명을 기소했습니다.
전 세계 곳곳에 250여개의 유령기관을 세워 자금의 출처와 흐름을 피하는 방식을 동원했는데요, 세탁된 자금은 북한의 조선무역은행으로 들어간 것으로 법무부는 판단했습니다.
기소된 인물 가운데는 북한 조선무역은행 전직 총재와 부총재 인사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유엔 회원국들은 지난 2016년 이후 북한은행의 지점을 폐쇄해야 하지만 중국 베이징과 선양에는 여전히 북한 조선무역은행 지점이 남아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지적했습니다.
미국 언론들은 이번 기소가 북한의 제재 위반 사건 가운데 최대 규모라고 전했는데요.
북미 협상이 교착 상태인 북한과 최근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중국에 경고의 메시지를 함께 보낸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