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0주년 추모 열기 여전...'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 YTN

2020-05-18 7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오전 11시쯤 종료
2017년부터 5·18로 가족 잃은 평범한 이들의 사연 소개
전남 담양 이주 후 결혼 2년 만에 남편 잃은 유족 소개
옛 전남도청 광장 개최…1997년 정부 기념일 지정 후 처음


광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는 정부행사가 열렸습니다.

5·18로 인해 소중한 가족을 잃은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시대를 초월 아픔에 공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김민성 기자!

조금 전에 정부 기념식이 끝났는데요. 분위기 어땠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이번 행사는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는 이름으로 열렸는데요.

오전 10시에 시작해서 한 시간 만인 11시쯤 마무리됐습니다.

지난 2017년 기념식부터는 5·18로 인해 소중한 가족을 잃은 평범한 사람들의 사연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당시 상황의 처절함을 인식하고 시대를 초월한 유족들의 아픔에 공감하자는 취지입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결혼 이후 전남 담양으로 이주한 뒤 2년 만에 발생한 5·18로 남편을 잃은 70대 유족의 이야기가 소개됐습니다.

모든 일정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이번 정부 기념식은 지난 1997년, 5·18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뒤 처음으로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개최됐습니다.

옛 전남 도청은 40년 전 계엄군이 시민들을 향해 집단 발포를 한 곳으로, 시민들이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 목숨을 걸고 끝까지 항전했던 곳입니다.


40주년이기 때문에 이번 5·18 행사가 더 특별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참석자를 대폭 줄였죠?

[기자]
오늘 행사 참석자 수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4백 명으로 제한됐습니다.

애초 5·18 40주년을 맞아 참석자 만 명 규모로 계획했다가 크게 줄인 겁니다.

예년 같으면 좌석도 빽빽하게 준비했을 텐데, 의자 간격도 충분히 벌렸습니다.

안타깝게도 행사 규모는 축소됐지만 광주·전남지역의 추모 열기만큼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8백50여 영령이 잠들어 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에도 지난 주말부터 유족과 시민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전국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김민성[kimms070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00518120126566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