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뷰]
[뉴스리뷰]
익명검사에 인권보호 핫라인까지…"클럽 전수조사 필수"
[뉴스리뷰]
[앵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발생한 시기 그 일대에 있었던 사람이 기지국 접속 기록을 통해 만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요.
서울시는 이들이 하루 빨리 자진해서 검사를 받게 하고자 익명검사에 이어 인권보호 핫라인까지 개설했습니다.
한상용 기자입니다.
[기자]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가장 시급한 조치는 전수 조사입니다.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6일 사이 해당 클럽 인근에 머문 사람들의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파악해야 방역과 예방 조치, 역학 조사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관건은 당사자 전원이 하루빨리 자발적으로 검체 검사를 받게 하는 겁니다.
서울시는 이미 해당 기간 이태원 인근에 있던 1만여명의 명단을 입수, 검사를 독려하는 문자를 발송했습니다.
동시에 카드이용자 494명의 명단도 확보해 검사를 받게 하거나 자가격리토록 했습니다.
클럽 방문 사실이 공개되길 꺼려하는 일각의 분위기도 고려해 본인이 원할 경우 전화번호만 확인하는 익명 검사도 개시했습니다.
그러자 검사 건수가 하루 사이 약 3,000건, 2배가량 증가한 6,500여건을 기록했습니다.
더 나아가 서울시는 인권보호 약속까지 했습니다.
개인정보가 유출 안 되게 철저히 관리하고 신분노출과 같은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핫라인도 개설키로 한 겁니다.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해당정보를 목적 외에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의심증상이 있거나 감염 가능성 있는 분들은 사회적 책임감을 가지고 검사를…"
서울시는 또 '검사 후 신변에 불이익을 받았다'는 허위정보가 돌고 있다며 서울시에 제보하면 사실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 (gogo21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