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물고기 떼죽음 사태에 대한 환경당국의 미온적인 대응 속에 현장에 투입된 직원들과 주변 주민들에 대한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당국이 "독극물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정작 현장에 별다른 손을 쓰지 않으면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금강변 곳곳에서는 3~4명씩 팀을 이뤄 죽은 물고기 수거가 이뤄지고 있었다.
대부분 환경청 소속 '환경지킴이' 또는 부여군에서 임시로 투입된 근로자들로, 장화에 앞치마, 고무장갑이 이들이 제공받은 보호장구의 전부였다.
이들은 부패한 물고기들을 집게로 집거나 아예 손으로 들어 올려 포대에 담았다.
이날로 닷새째 수거작업을 하고 있다는 이 모(60) 씨는 "정확한 원인은 안 나오고 독극물이나 전염병 얘기가 자꾸 도니 불안한 마음이 드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씨는 "아무 일이 없으면 다행이지만 예전 기름 유출 사고나 구미 불산 사고 때도 현장에 대책 없이 투입됐던 사람들이 나중에 고생하지 않았으냐"고 말했다.
주변 주민들도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긴 마찬가지.
직접적인 식수원은 아니지만, 죽은 물고기를 먹은 생물이나 오염된 강물에 의한 피해를 걱정하고 있는 것.
금강 근처에 30년 동안 살았다는 한 식당업주는 "살면서 처음 겪는 일인데 기관에서 아무런 설명도 듣지 못했다"며 "마을 사람들끼리 뉴스를 통해 소식을 접하는 게 전부"라고 말했다.
첫 발생 이후 일주일이 지났지만 금강변 주변에서 안내문이나 접근을 제한하는 시설물 등은 찾아볼 수 없었다.
환경당국이 '원인 파악'에만 매달리고 있는 사이, 2차 피해에 대한 걱정은 오롯이 개인의 몫으로 남겨진 상태다.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국장은 "환경부 스스로가 수질 문제가 아닌 독극물과 감염에 가능성을 두고 있다고 밝혔으면서도 정작 현장 직원들에 대한 대책조차 나 몰라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종합적인 상황 판단을 해야 될 환경부가 국과수에 의뢰해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증거"라며 "환경부가 이 같은 생물사고에 대해 적절한 대응 수칙을 갖고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덧붙였다.
대전CBS 김정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