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인근 해역에서 소방헬기가 추락한 지 닷새째입니다.
오늘도 생사가 확인되지 않은 실종자 5명을 찾기 위한 수색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포항으로 옮겨진 소방헬기 동체를 김포공항으로 이송하기 위한 준비도 한창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지 환 기자!
실종자들을 빨리 찾아야 할 텐데요. 오늘 수색 작업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습니까?
[기자]
네, 해경과 해군은 오전부터 함정과 항공기를 투입해 수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수색 범위는 사고 해역에서 남쪽으로 54km 아래까지 확대됐습니다.
전체 면적은 2,900㎢에 달합니다.
드론도 띄워 독도 인근 해안가도 정밀 수색하고 있습니다.
기상 악화로 어제 오후 중단된 수중수색은 파도가 낮아지며 오후 들어 장비를 동원해 재개했는데요.
안타깝게도 추가 실종자 발견 소식은 아직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해경은 다만 헬기 동체로 추정되는 물체 2점을 수거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중 수색은 크게 두 지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어제 헬기 동체가 인양된 곳 주변입니다.
동체를 끌어올리던 중에 내부에서 발견된 실종자 시신이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해경과 소방 잠수사들은 비행 추정 경로를 중심으로 수중 수색에 나섭니다.
수중음파탐지기와 무인잠수정, 독도 인근 해저지형 자료 등 관련 장비는 모두 동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야간에도 조명탄을 쏴서 수색에 나설 계획입니다.
변수는 역시 날씨입니다.
기상 상황이 나빠지면 잠수사나 무인잠수정 모두 투입이 어렵습니다.
물 밑 유속이 빨라지면 앞서 확인한 지역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잠수사들의 피로도도 고려사항입니다.
어제 헬기 동체를 인양했는데요.
블랙박스는 아직 확보하지 못한 건가요?
[기자]
블랙박스와 음성기록장치는 아직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어제 현장에서 인양한 동체는 현재 경북 포항으로 옮겨졌는데요.
지금 왼쪽에 보는 화면이 인양 당시 찍힌 헬기 동체 사진입니다.
추락 당시 충격으로 꼬리 부분이 떨어져 있죠.
오른쪽 화면에 원으로 표시된 곳이 사고 원인 조사에 열쇠가 될 블랙박스가 있는 부분입니다.
블랙박스는 동체와 꼬리를 연결하는 테일 붐이라는 부분에 설치돼 있습니다.
보이스레코더, 음성기록장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191104183105676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