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올해 초 김일성·김정일 사망일을 국가 추모의 날로 지정했는데요.
어제가 김일성 전 주석이 사망한 지 25년이 되는 해여서 첫 국가 추모의 날을 맞았습니다.
대규모 중앙추모대회가 열려 권력 서열을 엿볼 수가 있었는데, 몇몇 인사가 눈에 띄었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죠. 김지선 기자!
먼저, 북한 방송을 보니까 사이렌이 울리자 주민들이 묵념하고 버스와 열차도 멈추던데요, 원래 하던 건가요?
[기자]
사망 20주년이던 2014년에 했던 겁니다.
5년 주기로 대대적 추모 분위기가 조성돼 25주년인 올해도 같은 장면이 되풀이되는 겁니다.
달라진 게 있다면 올해부터는 국가추모의 날로 특별히 지정했다는 겁니다.
기존에 김일성, 김정일 기일을 민족 최대 추모의 날로 선전해왔다면 이제부턴 이 두 날을 국가 기념일로 지정해, 추모를 공식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자정에 시신이 있는 금수산태양궁전을 찾던 과거와 달리 올해는 한낮에 참배하고 실시간 보도한 점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앞서 굳이 국가추모의 날로 지정한 배경을 두고 개혁, 개방을 앞두고 내부 결속을 강화하고 사회 분위기를 다잡는 차원이라는 해석이 나왔는데, 일제히 조기를 걸고, 추모 사이렌이 울리는 순간을 생방송으로 전해 공식적인 추모 분위기를 더하는 모습에서 내부 결속을 한층 강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앙추모대회에서 김정은 정권의 권력 서열 단면이 드러났습니다.
제일 관심이 쏠린 인물은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입니다. 서열이 또 올라간 건가요?
[기자]
앉은 위치로만 보면 그렇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오른쪽 네 번째에 앉았는데, 김정은 위원장이 첫 번째니까 왼쪽부터 번갈아가며 세면 권력 서열 9위입니다.
다만 어제 앉은 주석단의 배열이 공식적인 권력 서열이라는 데는 이견이 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내부행사에서 주석단 위치가 실제 권력의 위상과 일치한다는 증거가 없어서 앉은 자리만 갖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여전히 김여정을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부장이 우리의 장관급, 부부장은 차관급입니다.
차관급인 김여정 부부장이 주석단에 김 위원장과 가까이 앉았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데,
어제의 경우 김일성 주석의 손녀라는 점이 특별...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709145413800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