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우리나라 30살 이상 성인 10명 중 3명이 앓고 있습니다.
이런 고혈압도 체중과 음식 조절만으로도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해 심혈관질환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한영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시민청에서 시민들이 혈압을 재고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가 대한고혈압학회와 함께 5월 한 달을 혈압측정의 달로 정해 캠페인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강석 / 서울 천연동 : 잴 때마다 약간씩 틀리는데 보통 120에 80이나 조금 높을 때는 130까지 되고.]
혈압은 아침에 일어나 소변을 보고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이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고혈압 환자 가운데 절반 이상은 본인이 혈압이 높은 줄 모르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활동이 활발한 30~40대의 고혈압 인지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해영 / 대한고혈압학회 학술이사 : 뇌졸중 같은 중풍과 심근경색증이라는 관상동맥질환의 반 이상은 고혈압에 의해 일어나고 또 고혈압을 관리하면 이런 위험성을 정상인에 가깝게 줄일 수 있다는 게 고혈압 관리의 중요성입니다.]
고혈압으로 진단되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고혈압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식사와 운동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혈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혈압 조절에는 체중 감량과 염분 섭취 줄이기가 중요합니다.
뚱뚱한 사람이 체중을 5kg 감량하거나 염분 섭취를 반으로 줄이면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것과 같은 정도로 혈압을 낮출 수 있습니다.
YTN 한영규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504002127149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