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아동의 부모는 맞벌이였습니다.
하루 종일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필요했는데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라 믿었는데, 사전에 알 수 있는 정보는 돌보미의 이름 뿐이었습니다.
결국 깜깜이 정보에 발등이 찍힌 겁니다.
이어서 사공성근 기자입니다.
[리포트]
피해 아동 부모가 정부 아이돌봄서비스에 돌보미 소개를 요청한 건 지난해 12월입니다.
믿을만한 돌보미인지 궁금했지만, 이름과 전화번호 외에 아이돌봄센터 측에서 알려준 정보는 없었습니다.
[피해 아동 어머니]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물어봤었는데, 잘 안 알려주더라고요. 개인 정보여서 알려줄 수 없다고."
정부 지원 서비스라는 사실만 믿은 채 일방적으로 배정을 받아야 했습니다.
[피해 아동 어머니]
"그래도 나라에서 하는 것이니까 일은 안 생기지 않을까 해서 신청을 했었구요"
정부는 돌보미 정보 제공 관련 지침도 없이, 아이돌봄센터 재량에 맡겨둔 상황입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
"저희가 인적사항 관련해서는 지침으로 규정하지는 않고 있고, 센터에서 기본적으로는 알려주시는 걸로 저희도 알고 있어요."
피해 아동의 부모는 돌보미 검증 시스템만 있었다면 아이가 고통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호소합니다.
[피해 아동 아버지]
"인적성 검사는 해야 되지 않나. 제재를 받고 6개월 후면 다시 복직이 가능하더라구요. 저도 깜짝 놀랐어요. 너무 허술한 거죠"
여성가족부는 아이 돌보미 자격 관리 강화 방안 등을 내일부터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
402@donga.com
영상취재 : 한효준 조세권
영상편집 : 장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