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서비스의 딜레마...언론사, 깊은 고민 / YTN

2018-05-10 1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이전에도 국정원 선거 개입과 연예인 악플 등으로 댓글은 논란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네이버가 뉴스 편집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지만, 다른 포털 사이트와 언론사들은 인터넷 뉴스와 댓글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정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인터넷 포털이 댓글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00년대 초반입니다.

올라온 순서대로 배치되던 댓글 서비스는 2015년 무렵부터는 호감 순으로, 지난해부터는 순공감 순으로 바뀌는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왔습니다.

연예인에 대한 악의적인 댓글이 이슈화될 때마다 도마 위에 오르긴 했지만, 보기 편리하고, 익명으로 자유롭게 의견을 내놓는다는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면서 포털의 댓글 논란은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습니다.

하지만 2012년 국정원의 조직적인 선거 개입과 드루킹 댓글 조작에서 여론 왜곡의 위험성은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이 훈 /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1%에 해당하는 네이버 아이디가 70~80% 해당하는 댓글을 작성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여론을 반영하는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고요.]

검색 본연의 역할로 돌아가겠다는 네이버의 발표가 긍정적 평가를 받는 이유입니다.

[한성숙 / 네이버 대표(어제) : 뉴스 편집을 더 이상 하지 않고 언론사가 직접 편집하는 구조로 바꿔나가면 사용자마다 기사 소비 동선이 달라져 뉴스 댓글에 쏠린 관심도 분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아웃링크' 형태로 포털이 아닌 언론사 홈페이지에서 뉴스를 제공한다 해도 주체만 바뀔 뿐 댓글이나 공감 서비스를 어떻게 할지는 여전한 숙제입니다.

[유우현 / 인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언론사로서의 책임은 분명히 다해야 할 거고요. 언론사 홈페이지들 가면 많은 광고들 때문에 독자들이 피로감도 느끼고 있거든요. 가독성도 사실 떨어지는 측면도 있고….]

네이버가 관계 언론사 70곳을 대상으로 '아웃링크'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절반이 입장을 유보했습니다.

'아웃링크'를 하면 광고비를 언론사가 갖도록 하겠다고 네이버가 제안했지만, 주요 언론사들은 수익성 악화와 조회 수 감소 등을 함께 고민하고 있습니다.

YTN 이정미[smiling37@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80510102523224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