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써 시행 일주일을 맞은 김영란법.
부패를 방지하고, 청렴한 사회로 도약하기 위한 첫 시도로 사회 곳곳에서는 적잖은 변화들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김영란법 시행 이후 첫 주말 풍경이 확 달라졌습니다.
먼저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의 풍경이 확 바뀌었습니다.
식장 앞에 줄줄이 늘어서 있던 대형화환과 조화 행렬이 줄어든 건데요.
특히, 정치인이나 고위공직자, 공공기관장 등 단체로부터 받아오던 화환들이 자취를 감췄습니다.
김영란법에 이른바 '3-5-10' 규정이 있긴 하지만, 화환을 보내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기준이 애매 모호해 아예 안 주고 안 받는 겁니다.
[류 모 씨 / 결혼식 혼주 : 김영란법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부담도 되지만, 그 이전에 허례허식이라는 생각을 해서 청첩장에도 (화환을 사양한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 모 씨 / 유족 : 오히려 (법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다 보니까 부담스럽기도 하죠. 어떤 게 맞는지 틀렸는지 모르니까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화훼업체들은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축하 선물용으로 인기 있는 호접란의 도매 가격은 작년의 3분의 1 수준, 아주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화훼업체들은 10만 원 이하의 화환을 제작하고 화환 공모전도 열고 있지만, 현실은 5만 원짜리 저가 화환도 꺼리는 추세입니다.
[김충희 / 화원 운영 : 직장인을 위한 5천 원의 레시피를 만들어서 5천 원짜리 상품을 만들어서 사무실에 꽂을 수 있게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날씨만큼이나 골프장의 표정 역시, 그야말로 '흐림'이었습니다.
비 예보에 이어 김영란법까지 시행되면서 전국 골프장의 예약이 줄줄이 취소됐고, 손님들의 발길도 많이 줄었습니다.
특히, 회원제 골프장의 매출이 급격히 떨어졌는데 접대 골프가 상대적으로 많았던 곳의 사정은 더 심했습니다.
[양지열/ 변호사 (어제 오후 2시 인터뷰) : 가장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은 곳이 아마 골프장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원래 통상적으로 이런 연휴 때 예약하기가 거의 어려운 국내 골프장들이 텅텅 비다시피 할 정도로 취소 사태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반면에 해외로 나가는 여행객들은 여전히 골프장비 같은 걸 갖춰서 가는 경우가 많아서 이게 괜히 내수시장만 위축시키는 게 아니냐 하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죠.]
이제 첫 주말이 지났기 때문에 김...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61004180305242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