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해안침식 실태와 대책을 짚어보는 연속 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
그렇다면 갈수록 심각해지는 해안침식 피해를 줄이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송세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다른 곳 모래를 옮겨 와 백사장 폭을 30m 가까이 넓혔던 강릉의 한 해변입니다.
투입된 예산만 90억 원에 달합니다.
이곳은 백사장이 있던 자리입니다.
하지만 모래가 다시 파도에 깎여 나가면서 1년 6개월 만에 백사장이 또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충분한 검토 없이 모래만 퍼부었다가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김재두 /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 (모래를) 부은 거나 안 부은 거나 똑같다는 말이에요. 바위가 다 보이니까. 예산 낭비죠. 예산 낭비가 많죠.]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서는 이런 땜질식 복구가 아닌, 해안마다 특성을 진단한 뒤 그에 맞는 침식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데구찌 이찌로우 / 오사카대학 명예교수 : 침식이 일어나면 바로 뭔가 하지 말고 모래가 다시 돌아올 수 있으니까 좀 기다려야 합니다. 그리고 대안을 만들었을 때는 장기적으로 보고 효과를 논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모래 자원 관리도 시급합니다.
현재 유리 원료인 흰 모래 '규사'와 골재용 모래 채취 허가는 각각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가, 연안 관리는 해양수산부가 맡고 있습니다.
관리 주체가 다르다 보니 하천과 바다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모래 관리는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물 자원을 확보하고 홍수 조절을 한다며 하천에 무분별하게 설치한 '보'도 문제입니다.
이런 인공구조물은 하천에서 바다로 흘러가는 모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심헌섭 / 강릉환경시민센터 사무국장 : 물을 이용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인위적인 구조물들을 많이 만들다 보니까 자연스럽게 바다로 흘러가는 모래들을 막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모래들을 인위적으로라도 바다로 흘러가도록….]
장기적으로는 해수면 상승을 고려해 개발행위를 제한하는 연안 개발 한계선을 지정하는 대책도 검토해야 합니다.
YTN 송세혁[shsong@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0203052259183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